정치 통일·외교·안보

치솟는 북한 내 스마트폰 수요...얼굴인식 기능 탑재된 새 스마트폰 '푸른하늘'

제15차 北 평양가을철국제상품전람회에서 공개된 ‘푸른하늘’ 스마트폰 얼굴인식기제15차 北 평양가을철국제상품전람회에서 공개된 ‘푸른하늘’ 스마트폰 얼굴인식기



북한의 한 선전방송에서 3차원 얼굴인식 기능 등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소개했다.

북한의 대남 라디오 방송 ‘통일의 메아리’는 지난 9일 방송에서 손전화기(휴대전화) ‘푸른하늘’을 소개했다. 북한 전자공업성 푸른하늘연합회사가 생산한 이 스마트폰에서 핵심 프로세서인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은 대만 회사 미디어텍의 MT6757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7.1.1 누가(Nougat)로 구동된다. 배터리 용량은 4,060mAH다. 제품의 정확한 출시 날짜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국내 스마트폰이 2년 전에나 안드로이드 7.1.1을 적용했던 점을 고려하면 기술 격차가 다소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방송은 “처리 속도가 높고 3차원 초고속 얼굴 인식과 지문 수감에 의한 보안 기능이 있으며 다중 심(SIM)카드 지원 기능이 첨부되는 등 여러 가지 우점(장점)을 가지고 있는 ‘푸른하늘’에 대한 수요는 날로 높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앞서 또 다른 북한 선전매체 ‘메아리’는 지난 9월 지문 및 얼굴인식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길동무’를, 또 다른 선전매체 ‘서광’은 지난 4월 무선충전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 ‘평양 2425’를 소개하기도 했다. 이처럼 북한 선전매체들이 북한에서 출시되는 스마트폰을 연이어 보도하고 있는 것은 빠르게 커지고 있는 북한 내 스마트폰 시장 규모를 보여주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판매는 북한 당국의 중요한 수입원이기도 하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지난해 탈북한 주민 116명을 대상으로 올해 8월 9일부터 9월 6일까지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북한에 있을 때 휴대전화가 있었냐는 질문에는 62.9%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