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건강 돕는 붉가시나무, 알고 보니 ‘산소 공장’

국립산림과학원, 붉가시나무 1ha에서 연간 50명분 산소 발생 확인

다량의 산소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붉가시나무 군락지.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다량의 산소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붉가시나무 군락지.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붉가시나무가 막대한 양의 산소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산림자원의 기능성 유용 소재 발굴 및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붉가시나무의 특성을 연구해 온 결과, 연구소가 조림한 붉가시나무(40년생) 군락지 1ha의 연간 산소발생량이 12.9톤으로 측정ㅤㄷㅙㅅ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성인 1명이 1년간 호흡에 사용하는 산소량이 257kg임을 감안할 때 50인이 호흡할 수 있는 양이며 우리나라 주요 산림수종인 소나무 군락지 1ha에서 발생하는 산소량인 5.9톤보다 2배 이상 되는 양이다.

경남, 전남, 제주 등 한반도에 자연적으로 분포하는 붉가시나무 군락지의 면적은 총 1,824ha규모이며 이곳에서 발생하는 산소는 성인 약 9만1,000명이 1년간 숨 쉴 수 있는 충분한 양이다.


붉가시나무는 위도상 난아열대 지역인 전남도, 제주도 등지 남해안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표고 약 170∼500m에서 군락지를 이루는 난대상록성 참나무류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한반도 남부 및 중부지역까지 점차 생육지가 북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붉가시나무의 도토리가 항산화 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의 총함량이 동일 가시나무속 다른 나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밝혀내고 건강 보조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올해부터 붉가시나무 외에도 가시나무속의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등 총 6개 수종에서 화장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 개발과 유용성분 추적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손영모 소장은 “난대상록수의 생육지 북상은 기후변화 시대에 이미 예견된 사실로 해당 수종에 대한 증식, 육성 및 관리 연구를 통해 환경의 위기에 빠르게 대응할 것”이라며 “유용한 산림자원을 활용해 우리 임업인의 소득증대에 도움이 되는 실용연구를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