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남도가 소상공인의 힘이되겠습니다

경남도, ‘공공제로페이’ 24일부터 본격 시행

예산 제로페이 사용으로 소상공인 경영부담 완화, 가맹점 확산

경남도가 지난 18일 18개 시군 담당자들과 공공제로페이 도입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도경남도가 지난 18일 18개 시군 담당자들과 공공제로페이 도입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도



경남도가 공무원들의 일상경비를 ‘제로페이’로 결제하는 공용허브를 개발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나선다.

경남도는 소상공인 가맹점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제로페이에 업무추진비, 급량비 등 현금성 지출예산을 결제하는 ‘공공제로페이’를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경남도와 18개 시·군에서 업무추진비, 급량비 등의 예산을 제로페이로 사용하면 지역식당 등 소상공인은 약 100억원 정도 매출액에 대한 신용카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른 홍보 효과도 있어 제로페이 가맹점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제로페이 제도는 연매출 8억원 이하의 소상공인에게는 결제수수료가 없어 부담을 덜 수 있으며, 소비자의 계좌에서 판매자의 계좌로 직접 이체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또 소상공인은 가맹점 앱을 사용해 매출 현황을 관리할 수 있어 관리가 편하다는 이점도 있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가맹점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제도지만 소비자도 소득공제 30% 등 각종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도는 지난해부터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공공제로페이’를 지방정부에 도입할 수 있도록 회계법령을 정비하고, 허브와 결제 앱 개발 등을 (재)한국간편결제진흥원, 농협은행 등 관련 기관과 지속적으로 논의했다. 지난 연말에는 한 달간의 시범 운영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고 시스템을 정비해 금융감독원의 승인을 받아 본격 도입하게 됐다. 또한 시·군으로 확대하기 위해, 지난 18일 공공제로페이 도입 설명회도 개최했다.

이삼희 자치행정국장은 “현재 코로나19로 소상공인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이 도입돼야 한다”며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제로페이 제도가 조기에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