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최근 국내 기업의 근무환경을 변화시켰다. 많은 기업이 재택근무를 권하고 있는 이유는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확진 환자 1명이 다녀가면 건물 전체를 폐쇄해야 하는 상황에서 재택근무, 즉 홈오피스는 사실상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재택근무는 지난 2005년 한국에서 특허청이 최초로 시행한 이후 15년 만의 일이다. 당시 특허청 전체 직원의 8% 정도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해 이듬해부터 규모를 점차 늘렸지만 좋지 않은 인상을 남겼다. 시행 후 얼마 못 가서 이 기관의 재택근무자들이 제도를 악용해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는 등 국감 지적사항이 다수 제기돼 국민의 불신을 초래하자 폐지한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에 직장인들도 당황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갑작스레 발생한 확진자를 피해 쫓겨나듯 사무실을 등진 사람들이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최근 온라인게시판·블로그를 보면 가족과 함께 저녁 있는 삶을 즐길 수 있지만 그만큼 업무능률을 희생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재택근무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직도 모르겠고 업무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도 감을 잘 못 잡겠다는 것이다. 또한 노트북을 통해 화상 회의하는 ‘스카이프 미팅’에 익숙지 않은 부장들로 인해 회의가 진행되지 않고 때로는 헤드폰을 통해 아이들 말소리가 전해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몇몇 기업들이 실시한 재택근무가 이제는 새로운 생활표준, 이른바 ‘뉴노멀’로 급부상했다. 하지만 이를 그저 신기한 현상만으로 바라보기에는 걱정이 앞선다. 예기치 않은 시행에 혼선이 빚어지는 것은 물론 장기화할 경우 노동생산성 저하도 우려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기업들의 재택근무 인프라 구축 및 정부의 관련 지원은 필수 과제로 꼽힌다. 경제에 치명타를 날린 코로나19가 역동적으로 재택근무 산업 성장의 시험대 및 촉매제가 된 것이나 다름없게 됐다.
따라서 제도 정착을 위해서는 먼저 재택근무시스템, 즉 출퇴근을 관리하는 근태관리시스템·화상회의·보안시스템·회계처리 등을 구축해야 한다.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클라우드·원격회의시스템 등의 발달로 스마트워킹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직원은 일과 생활을 분리해 과거와 같은 시행착오를 겪어서는 안 된다. 회사는 근태보다는 성과관리에 집중해야 하며 재택근무를 하더라도 상사는 팀원을 믿고 허락해줘야 한다. 그리고 팀원이 자택에서도 100%의 효율성으로 일한다는 것을 신뢰하고 팀원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지 말아야 하며 상호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팀워크를 쌓아나갈 때 성공적인 재택근무가 될 수 있다.
우리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19의 위기 속에 살고 있다. 이 위기로부터 조속히 벗어나기 위해서는 전 국민이 온 힘을 합쳐 방역당국에 최대한 협조해야 한다. 이번 계기를 통해 각 기업과 환경에 맞게 재택근무를 도입해나간다면 직장인들이 조금 더 만족스럽게 회사생활을 하는 조직문화로 자리매김하리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