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대권주자 손익계산서] 부활한 보수 ‘빅스피커’ 홍준표…복당이 첫 숙제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대구 수성을 소재 수성못에서 총선 유세 연설을 하고 있다./서울경제DB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대구 수성을 소재 수성못에서 총선 유세 연설을 하고 있다./서울경제DB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21대 총선에서 승리하며 원내로 돌아왔다. 지난 2018년 6월 당 대표를 맡아 진두지휘했던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후 대표직에서 사퇴한 지 2년 만에 중앙무대로 복귀했다.


홍 전 대표는 총선 승리로 많은 것을 얻었다. 보수진영에서 다시 한번 대권주자로의 도약을 꿈꿀 수 있다. 이번 총선에서 홍 전 대표는 지독한 견제를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부산·경남(PK)의 좌장을 자처하며 고향 출마를 고수하다 당에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견제하기 위해 양산으로 가겠다고 양보했다. 하지만 당이 그를 공천에서 배제하자 탈당한 뒤 혈혈단신으로 대구 수성을에 출마해 당선됐다. 이번 선택으로 무엇보다 홍 대표는 ‘보수의 심장’ 대구 지역을 대표하는 대권주자로 거듭났다. 경남도지사까지 지낸 그의 이력을 보면 보수진영에서 영남권의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21대 국회에서 ‘복당’이라는 가장 큰 숙제가 남아 있다. 미래통합당 내 세력이 약한 홍 전 대표가 매끄럽게 보수진영의 본(本)당인 통합당에 돌아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험난할 것이라는 관측이 오히려 맞다. 김용철 부산대 교수는 “대권주자로서 인정받았지만 당내 지지세력이 약하다는 점이 문제”라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