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위안부단체 기부금 한점 의혹 없이 규명해야

시민단체인 ‘일본군 성 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의 회계 투명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정의연이 국세청 홈택스에 공시한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에 따르면 이 단체는 최근 4년간(2016~2019년) 49억2,000만원을 기부받아 이 가운데 9억2,000만원을 피해자 지원에 썼다. 기부금 용처에 대해 정의연은 8일 입장문을 내 “피해자 지원과 국제사회 활동, 관련 콘텐츠 제작 등에 사용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성금이 어디에 쓰이는지 모른다”고 의혹을 제기하자 정의연은 이 할머니에게 보낸 생활지원금 영수증 등을 공개했다. 하지만 정의연이 이 할머니에게 지원한 금액이 많지 않은데다 상당 기간은 공백 상태여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기부금 일부가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 남편의 사업체에 광고 명목으로 지원됐다는 의혹도 제기됐으나 정의연은 의혹을 부인했다. 윤 전 이사장은 4·15총선에서 여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선됐다. 일각에서는 “윤 전 이사장 딸의 미국 유학비 조달 경위가 궁금하다”는 의문도 제기한다.

관련기사



회계 의혹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정의연이 스스로 한점 의혹도 없도록 수입과 지출 내역을 꼼꼼히 밝혀야 한다. 만약 정의연이 의혹을 말끔히 해소하지 못한다면 검찰 수사나 국회 차원의 진상규명 방안이 거론될 수 있다. 정의연 감독기관인 여성가족부 역시 기부금 사용처를 철저히 들여다봐야 한다. 이번 기회에 정의연의 활동방식에 대해서도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 할머니가 “증오와 상처만 가르치는 수요집회”라고 지적한 만큼 일본의 진정한 사죄를 토대로 위안부 문제 해결 방안을 재검토해야 한다. 또 지은희 전 여성가족부 장관 등 위안부 문제 관련 시민단체 리더들의 잇단 정관계 진출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