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공산당원 입국 막겠다는 美…마윈도 못갈 판

마화텅·레이쥔 등 유력인사 포함

기업인 8,000명 중 과반이 당원

美 강경조치 현실화 여부에 촉각

마윈 전 알리바바 회장   /블룸버그자료사진마윈 전 알리바바 회장 /블룸버그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실제로 중국 공산당원의 입국을 금지할 경우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같은 중국의 유력 기업인들이 미국을 찾지 못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간) 미 CNN비즈니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검토 중인 ‘중국 공산당원 입국금지 조치’가 시행되면 마윈을 비롯해 최대 전기차 업체 비야디의 왕촨푸 회장, 한때 중국 최고 부자였다고 알려진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 등이 미국을 방문하지 못한다고 보도했다.

회사 경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 공산당원이 되기를 원하는 중국 기업인들의 특징을 고려하면 입국금지 대상 규모가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중국 정부의 자체 조사 결과 기업인 8,000여명 가운데 과반이 공산당 소속이었다. 홍콩 중문대 중국연구소의 윌리 람 교수는 “공산당원이면 은행 대출이나 국영회사와 합작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어 돈과 영향력을 가진 사람일수록 더욱 공산당원이 되려 한다”며 이 같은 현상의 이유를 설명했다.

관련기사



중국의 의회격인 양회 위원까지 합치면 규모는 더 커진다. 지난해 기준 기업인의 3분의1가량이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 4분의1이 전국인민대표대회 위원이었다. 마윈과 중국 부자 순위 1위를 다투는 마화텅 텐센트 회장과 레이쥔 샤오미 회장, 포털사이트 바이두의 리옌훙 회장 등도 양회 위원으로 알려졌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가 중국 공산당원과 그 가족은 물론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또는 국영기업 임원의 미국 방문을 막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이번 조치로 약 2억7,000만명이 영향을 받는다고 추산했다. 미국의 강도 높은 조치와 관련해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보도가 사실이라면 14억 중국 인민에게 맞서는 일”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