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코로나 강펀치에 '제조업 심장' 국가산단 녹다운…9월 '부도 쓰나미' 오나

5월 가동률 70.4%…IMF 직후보다 낮아

생산실적 19.8% 줄고 수출 30.8% 급락

2115A04 국가산업단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6개월째 수출과 내수가 꽉 막히면서 국내 제조 중소기업이 밀집한 국가산업단지의 가동률이 지난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나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보다 낮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노후화와 고령화, 생산성 하락 등이 누적돼온 국가산단에 코로나19라는 강펀치가 날아든 탓이다. ‘제조업의 심장’으로 불리는 국가산단이 ‘녹다운’ 직전인 셈이다.

20일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국가산단 산업동향에 따르면 남동·반월·시화·구미·창원 등 38개 국가산단의 5월 가동률은 70.4%를 기록했다. IMF 직후인 1998년이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에도 가동률은 70%대 후반을 지켜 ‘70%’는 지금까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수치다. 일부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지 않으면 70% 선 붕괴는 시간문제라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생산·수출실적, 고용인원 중 온전한 것이 하나도 없다. 5월 생산실적은 33조3,36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9.8% 하락했고 수출은 89억3,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30.8% 급락했다. 거의 10년 만에 처음 보는 낙폭이다. 고용인원 역시 97만명으로 계속 감소세다.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에 있는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1년 만에 수출이 딱 반토막 났다”며 “공장 설비를 돌릴수록 손해지만 죽어도 폐업은 못하겠고 직원들이 격주로 무급휴무를 하면서 근근이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수주급감에 공장 팔아 빚갚기 급급…영세기업 하반기 잇단 폐업 위기
경기 시화공단에서 연매출 100억원 안팎을 올리던 자동차 부품 업체 A사는 최근 공장 부지를 팔고 충북 음성으로 회사를 옮겼다. 원청업체의 부진으로 일감이 반토막 나면서 부채가 감당이 안 돼 내린 조치다. 이 회사가 매각한 2,314㎡(700평) 부지에는 인쇄회로기판(PCB) 등 영세임가공업체 10개가 들어섰다. 시화공단의 한 부품 업체 임원은 “주위를 보면 은행에서 대출 만기를 연장해줘도 경영난으로 사업을 포기하는 곳이 하나둘 나오고 있다”며 “그나마 경쟁력이 있던 업체들은 경비절감 차원에서 지가가 저렴한 지방으로 이동해 영세기업만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상반기만 해도 ‘여름이 되면 괜찮아지겠지’라는 희망이라도 있었는데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이제는 비전 자체가 안 보인다”고 넋두리했다.

코로나19로 수주물량이 급격히 줄어든 가운데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산업단지에 있는 한 섬유공장에서 수십여개의 설비 중 일부만 작동하고 있다. /이재명기자코로나19로 수주물량이 급격히 줄어든 가운데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산업단지에 있는 한 섬유공장에서 수십여개의 설비 중 일부만 작동하고 있다. /이재명기자


‘제조 코리아’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해왔던 국가산업단지가 노후화와 고령화, 여기에 생산성 하락까지 누적돼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강펀치를 맞고 휘청이고 있다. 게다가 자동차·조선·철강 등 주력업종의 경쟁력마저 나날이 쇠퇴하다 보니 지난 5월 공장 가동률은 역대 최저인 70.4%를 기록했다. 규모가 작은 영세기업은 말할 것도 없고 그나마 우량기업들마저 생존 벼랑에 몰려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더 심각하다. 올 상반기에만 전국 55개 국가산업단지에서 처분된 공장이 지난해 동기보다 56개 많은 566개에 달해 폐업 도미노가 이미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제조 코리아의 한 축을 담당해온 산단의 위기는 국가경쟁력 위기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위기감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중소기업연구원의 노민선 박사는 “사실상 비상사태”라고 했다.


생존 벼랑 끝…노후·고령화에 생산성 하락 악순환 끊어야
◇생산·수출·고용의 ‘트리플 추락’…몰려오는 먹구름=한때 ‘전자산업의 메카’로 불렸던 구미산업단지는 최근 충격에 빠졌다. 자동화 설비 업체 프로템과 그 계열사인 웰코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기 때문이다. 이 업체가 지역에서 기술력을 갖춘 기업으로 통했던 만큼 공단은 뒤숭숭한 상황이다. 구미산단 내 한 업체의 관계자는 “내수·수출이 다 막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부도가 도미노처럼 발생하는 게 아니냐는 불안감이 팽배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가동률이 30% 남짓인 곳이 대부분이라 주 3~4일 근무하고 금요일은 일찍 문을 닫아버리는 곳을 빼면 없다시피 한다”며 “밤만 되면 불야성은커녕 야근하는 곳이 없어 썰렁 그 자체”라고 말했다. 실제 산업단지 실적을 보면 암울하다. 올 5월 생산(33조3,364억원)과 수출(89억3,000억원)은 전년 대비 각각 19.8%, 30.8% 빠졌다. 고용도 97만7,000여명으로 2만명 가까이 줄었다.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도 공장 가동률이 낮을 만큼 일감이 바닥 상태다. 이미 현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감지된다. 인천 남동공단에 자리한 보증기관의 한 관계자는 “3월만 해도 소상공인이 어려웠는데 지금은 기업이 어렵다”며 “최근 은행 대출이자 연체가 발생할 경우 들어오는 사고통지가 점점 많아지고 있어 앞으로 부도 사고가 급증할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극심한 내수 부진과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수도권 최대의 공업단지인 인천 남동공단의 한 공장 입구에는 지게차들이 일감이 없어 줄지어 서있다 . /인천=이호재기자.극심한 내수 부진과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수도권 최대의 공업단지인 인천 남동공단의 한 공장 입구에는 지게차들이 일감이 없어 줄지어 서있다 . /인천=이호재기자.


◇주력 대기업과 함께 침몰하는 산단=지역 대기업이 죽을 쑤는 공단일수록 타격이 더 크다. 창원이 대표적이다. 두산중공업의 경우 5년 전 직원이 6,000명이었는데 지금은 2,000명에 불과하고 한국GM도 희망퇴직·유급휴직 말이 계속 나올 만큼 어렵다. 대기업이 어려우니 이를 받치는 후방업체들은 설상가상일 수밖에 없다. 지역의 한 중소업체 임원은 “10년 전 창원 대기업 수가 40개를 넘었는데 지금은 절반 넘게 줄었다”며 “창원 지역 중소기업이라면 업종 구분 없이 다 어렵다는 게 맞는 말일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창원 지역 기보의 사고율도 다른 지역의 두 배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 인근 지역도 심각하다. 가동업체 수만 해도 온산 산단이 244개사(5월 기준), 울산·미포가 607개사로 1년 전에 비해 총 136개사가 줄었다. 지역 업체 관계자는 “하반기가 고비일 수 있다”며 “특히 자동차 부품 쪽이 제일 어려운데 영세업체는 일감 있을 때만 문을 열 정도”라고 말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최근 인원 감축을 시행한 서울 성동구의 한 구두 공장에서 적은 수의 직원들 앞에 주인 잃은 미싱이 놓여 있다. /송은석기자최저임금 인상으로 최근 인원 감축을 시행한 서울 성동구의 한 구두 공장에서 적은 수의 직원들 앞에 주인 잃은 미싱이 놓여 있다. /송은석기자


◇노후화→고령화→생산성 하락 악순환 끊어야=국가산단이 이처럼 맥을 못 추게 된 것은 시설 노후화와 고령화, 생산성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는 데 실패해서다. 주력산업의 변화에 둔감한 탓도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간과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내연기관 자동차는 전기차·자율주행차로 급변하고 있지만 공단 내 기업들은 여전히 ‘3차산업’의 하청기지에 머물러 있다. 대기업 하청에만 만족해 우물안에 갇혀 있다 보니 글로벌 시장 진출을 하진 못한 결과다. 젊은 인재를 불러들이는 데도 실패했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틀에 박힌 정책만 되풀이하면서 정책 역량이 의심을 받는 상황까지 왔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는 “산단 내 기술혁신형 기업이 고꾸라지게 방치해서는 곤란하다”며 “옥석을 가려 이런 기업에 지원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 박사는 “기자재 노후화 등 작업환경 개선도 절실하다”며 “생산성 관점에서 일터혁신을 위한 정책적 관심과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산단 경쟁력 회복을 위해 인프라 기반 확충 등 장기 프로젝트와는 별개로 화급한 기업 지원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조언이다. /이상훈·이재명기자 shlee@sedaily.com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