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3.3%' 성장률 쇼크...소비회복 덜된 상태에서 수출 57년만 최악(종합)

수출 -16.6% 감소로 1963년 이후 최대폭 감소

연간 -0.2% 달성하려면 하반기 3%대 회복해야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0년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은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0년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수출 타격과 내수 부진으로 2·4분기 경제성장률이 1998년 이후 가장 낮은 -3.3%로 주저앉았다. 지난 1·4분기 성장률에 영향을 줬던 소비 타격이 온전히 회복되기도 전에 2·4분기에 더 큰 수출 충격이 온 것이다.

23일 한국은행은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3.3% 감소했다고 밝혔다. 1998년 1·4분기(-6.8%)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글로벌 경제위기 때인 2008년 4·4분기(-3.28%)보다 후퇴했다. 지난 1·4분기(-1.3%)에 이어 다시 마이너스 성장하면서 카드사태가 발생했던 2003년 1·4분기(-0.7%), 2·4분기(-0.2%) 이후 17년 만에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도 -2.9%로 집계됐다.


한은은 당초 2·4분기 성장률이 -2%대 중후반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봤지만, 수출 실적이 예상보다 더 악화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전망치를 밑돌았다. 수출은 자동차와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줄면서 전기 대비 16.6% 감소했다. 1963년 4·4분기(-24.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주요 수출국의 이동제한으로 자동차·스마트폰 등 해외 수요가 급감했고, 해외 공장 봉쇄 등으로 가공중개무역도 부진했다”며 “코로나19 이후 고용지표가 계속 좋지 않아 소득여건이 악화됐고, 거리두기 등으로 소비심리 회복이 제약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컨테이너터미널과 평택국제자동차부두/평택=오승현기자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컨테이너터미널과 평택국제자동차부두/평택=오승현기자


수입 역시 7.4% 감소하면서 2008년 4·4분기(-16.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도 각각 1.3%, 2.9%씩 감소했다. 다만 민간소비는 승용차·가전제품 등 내구재를 중심으로 1.4% 증가했고, 정부소비도 물건비 지출을 늘리며 1.0% 증가했다. 경제활동별로 살펴보면 서비스업 감소폭이 축소된 반면 제조업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은 운송장비,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을 중심으로 전기 대비 9.0%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1·4분기 -2.4%에서 2·4분기 -1.1%로 소폭 개선됐으나 여전히 마이너스다.

이에 따라 한은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한은은 지난 5월 상반기 -0.5%, 하반기 0.1% 등으로 연간 성장률 -0.2%를 예상했다. 하지만 이날 2·4분기 성장률이 -3.3%로 발표되면서 상반기 성장률은 -0.8%가 됐다. 이에 연간 성장률이 -0.2%가 되려면 오는 3·4분기와 4·4분기에 각각 3%대 성장률을 보여야 한다. 하반기 반등은 각국 정부의 봉쇄 수준과 중국 경제 회복 등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다.

박 국장은 “당초 전망보다 낮아진 2·4분기 성장률이 연간 성장률을 얼마나 끌어내릴 것인지는 세계 각국의 봉쇄조치 여부와 중국 경제 회복에 달려 있다”며 “중국 상황을 봤을 때 코로나19가 급격히 진정되면 급반등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