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정부, 우주쓰레기 수거로봇 개발 시동 건다

과기정통부 23일 우주개발진흥위 개최

쓰레기 경감위한 비행체 개발 권고 확정

하반기 500kg 중형위성 1호도 발사키로

내년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사업 개시

(자료제공: 과기정통부)(자료제공: 과기정통부)



정부가 우주쓰레기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우주비행체 및 로봇 개발에 시동을 걸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 34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우주비행체 개발 및 운용 권고’를 확정했다. 이번 권고안은 지난 2007년 국제연합(UN) 산하 외기권위원회(COPUOS)가 채택한 ‘우주쓰레기 경감 가이드라인’을 준용해 마련됐다.


현재 지구궤도상에는 위성파편 등 지름 1cm 이상의 우주쓰레기 약 90만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 쓰레기는 4만km/s의 속도로 지구주위를 공전하고 있어 자칫 인공위성이나 우주로켓·탐사선 등과 충돌해 대형 참사를 일으킬 수 있다. 충돌시 또 다시 대규모 파편이 발생해 우주쓰레기가 급증하는 악순환이 초래된다. 이를 막기 위해 이번 권고안은 우주비행체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는 설계기준, 충돌 위험시 회피기동, 임무 종료 후 폐기조치(잔존궤도 수명 25년 고려) 등에 대한 기술적 권고내용을 담았다.

관련기사



해당 권고안 작성을 계기로 앞으로 우주쓰레기 수거로봇 등 관련 분야의 능동 기술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과기정통부는 내다봤다. 또한 우주쓰레기 문제 관련 국제적 규범화에 대비한 사전 준비작업에도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이날 실무위에선 ‘향후 3년(2020∼2022) 우주개발계획’도 확정됐다. 해당 계획은 주요 우주 사업의 성공적 완수, 국가전략자산 확보, 지속가능한 우주경쟁력 확보 등의 내용이 담겼다. 특히 500kg급 차세대 중형위성 1호를 올해 하반기에 발사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또한 자력 우주탐사의 초석이 될 국산우주로켓 ‘누리호’의 내년 발사를 앞두고 올해 하반기에 전문점검을 실시한다는 방침이 담겼다. 이밖에도 2035년까지 구축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을 준비하고,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원 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한다는 내용 등이 계획에 명시됐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