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데이터 결합 전문기관’에 신용정보원·금융보안원

기업 결합 신청 시 안전하게 결합

이후 결합데이터 파기 및 금융위에 정기보고




금융위원회가 6일 기업 간 데이터 결합을 지원하는 전문기관으로 신용정보원과 금융보안원 등 2곳을 지정했다.

금융위는 “5일부터 시행된 개정 신용정보법은 익명·가명 정보 개념을 도입하고 정부가 지정한 데이터 전문기관을 통한 데이터 결합을 허용했다”며 “신용정보원과 금융보안원은 기업 간 데이터 결합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익명정보의 익명처리 적정성도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결합 과정을 보면 우선 기업은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를 암호화 방식으로 가명 처리한다. 이후 결합을 원하는 다른 기업 역시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이 두 기업은 결합키를 생성한다. 이어 데이터 전문기관에 데이터 결합을 신청하면 기관은 결합을 하고 데이터의 가명·익명처리 적정성을 평가한다. 이상이 없으면 신청기업에 결합 데이터를 전송한 후 해당 데이터를 파기한다. 이어 결합 관련 사항을 기록·관리해 금융위에 정기적으로 보고한다.





현재 금융·통신·유통 기업들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새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신한은행과 CJ올리브네트웍스, LG유플러스 등 몇 가지 사례를 소개했다. 이들은 신한은행이 갖고 있는 고객의 소득·소비·자산 정보와 CJ의 온라인 채널 택배정보, LG유플러스의 IPTV 시청정보를 결합해 상권별 거주자의 소비행태 분석을 준비 중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정보는 소상공인의 맞춤형 마케팅 전략 마련에 활용되고 공공기관도 행정 정책 수립에 참고할 수 있다.

신한카드와 SKT의 협업도 주목된다. 카드사가 보유한 카드 이용정보와 통신사의 고객 기지국 접속 정보를 결합해 어떤 고객이 어느 여행지를 주로 가는지 등을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은 여행·관광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외에 KB카드와 CJ올리브네트웍스도 카드이용정보와 택배 정보를 토대로 소비행태 분석을 준비 중이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데이터 전문기관 지정으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결합·활용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며 “이종산업간 데이터 융합 활성화로 새로운 산업 성장도 촉진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또 “7월 말 현재 금융분야 데이터 거래소에 77개 기업이 406개의 데이터를 매물로 내놓았고 313건, 3억 9,000만원어치의 거래가 이뤄졌다”며 “거래소도 계속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