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진성준 "공연한 물귀신 작전..사퇴하라"..與, 박덕흠 정조준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 한정애 정책위의장 등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 한정애 정책위의장 등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상임위원회 관련 기관으로부터 수천억대 공사수주 의혹을 받는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을 향해 총공세에 나섰다. 추미애 법무장관 아들 군복무 의혹과 관련해 수세에 몰려있었지만 김홍걸 의원을 제명한 뒤 공세작전으로 전환한 모습이다.


22일 진성준 민주당 의원은 전날 박 의원이 기자회견을 통해 제기했던 ‘정치 공세’라는 주장에 대해 전면 반박했다. 특히 박 의원이 기자회견문을 통해 당시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진성준 의원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하자 진 의원은 ‘공연한 물귀신 작전’이라고 비판했다. 진 의원은 “저는 2018년 7월 1일부터 서울시 정무부시장으로 재임했고, 건설공사 관련 업무는 정무부시장의 소관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어 2015년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건설 신기술 활용을 주문했다는 의혹에 대해 “서울시는 국정감사위원인 박 의원의 지적을 수용해 2015년 10월 8일 ‘서울특별시 건설신기술 활용 촉진에 관한 조례’를 개정했다”며 “이같은 조치는 수감 기관으로 마땅한 것이며 문제는 박 의원의 지적 자체가 회피해야 할 이해충돌과 사익추구 행위에 해당하며, 헌법과 공직자윤리법을 위반한다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 /진성준 의원 SNS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 /진성준 의원 SNS


공개경쟁입찰제도를 활용했다는 박 의원 해명에 대해서도 진 의원은 “반만 맞는 사실”이라며 “박 의원이 강조한 건설 신기술이 적용되는 공사의 경우 수주 자격이 제한되고, 신기술을 특허로 보유하고 있는 업체가 사실상 수의계약으로 공사를 수주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진 의원은 2008년 구의·자양취수장 이전 사업에서 박 의원 일가 회사가 담합을 주도해 과징금을 부과받은 사건을 예로 들어 “건설업체들은 사전입찰담합으로 공개경쟁입찰을 무력화하는 불법을 저지르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이 입찰담합 삼진아웃제 법안에 반대한 것을 두고는 “박 의원의 가족회사가 불법담합으로 과징금을 부과한 적이 있는데, 가족회사가 등록말소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막으려 했던 셈”이라며 “이야말로 이해충돌의 전형이자 사익추구의 전형”이라고 의원직 사퇴를 촉구했다.

앞서 이날 열린 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도 문진석 민주당 의원은 “박 의원 의혹은 피감 기관으로부터 가족 명의 회사에 2,000억원의 일감 몰아주기를 했던 것”이라며 “전례를 찾기 어려운 전대미문의 비리 의혹”이라고 일침했다. 그는 “사실이라면 이해 충돌을 넘어 국고를 훔친 범죄 행위로 사법처리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산업안전 보건분야의 안전과 보건을 좀 더 강화하고 노동자의 삶을 보장하기 위해 환경노동위원회에서 법안을 개정할 때 박 의원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우려되지 않을 수 없다”며 우려했다. 박 의원은 특혜 수주 의혹이 불거진 뒤 국토위에서 환노위로 상임위원회를 옮겼다. 한 의장은 “박 의원은 이해충돌이라는 표현으로는 정말 많이 부족한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며 “지난 20대 국회에서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을 처리할 때 국토위에 재직하신 박 의원이 직접 환노위에 방문해 해당 법안의 특별내용 처리를 막으시려 했던 적이 있다”고 지적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