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 "경주마식 교육으론 통합형 인재 못 키운다"

[디지털뉴딜 시대 인재가 없다]

수도권 정원 제한 서둘러 풀고

경직된 논문 위주 학풍 벗어나

획기적인 커리큘럼 교체 필요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원장. /서울경제DB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원장. /서울경제DB



“정부가 늦게나마 인공지능(AI) 대학원 확충에 나선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커리큘럼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으면 창의력을 갖춘 인재가 아닌 앞만 보는 경주마를 길러낼 뿐입니다. 경제학이나 심리학처럼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들이 데이터사이언스를 공부할 수 있도록 해 판 자체를 흔드는 통합형 인재를 길러내야 합니다.”

데이터사이언스를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최초의 전문 대학원인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의 차상균 원장(전기정보공학부 교수)은 24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데이터 교육과정의 방향성에 대해 이같이 강조했다.


차 원장은 AI라는 협소한 분야에 집중하기보다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전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론을 채택해 문제 해결이라는 목표에 다가가는 새로운 학문인 데이터사이언스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머신러닝(기계학습) 일변도의 AI 연구는 글로벌 기준에 비춰봤을 때 이미 뒤처진 유행 따라가기에 가깝다”며 “AI·머신러닝·딥러닝은 물론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 과정을 아울러 창의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한 인재를 키우는 데이터사이언스가 더 넓은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패턴을 인식하는 기계학습 수준에 그치는 현재 AI 기술의 한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보다 더 본질적인 데이터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차 원장은 데이터 교육에 정부는 물론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의 전폭적인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차 원장은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12일 국내 데이터·네트워크·AI(DNA)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주재한 목요대화에 한성숙 네이버 대표,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 등 관계자와 동석했다. 차 원장은 이날 데이터 인재 양성을 위해 기업들의 적극적 투자를 요청했다고 한다. 그는 “우수한 교수가 요구하는 수십억원대 연봉을 맞춰줄 수 없는 게 대학 현실”이라며 “ICT 기업들이 디지털 경제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을 선순환 구조로 투자해 한국에서도 ‘네이버 프로페서십’ ‘카카오 프로페서십’ 같은 석좌 교수 포지션을 만들어주면 외국에서 석학을 데려오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했다.

여기에 더해 차 원장은 “다양한 전공·배경을 가진 인재를 효과적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발목을 잡고 있는 수도권 대학 정원 제한이 풀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의 지난해 첫 신입생 모집에서 40명을 뽑는 전문석사 과정에 257명이 몰려 경쟁률이 6대1을 넘겼다. 하지만 40명 정원은 한 학기에 1,5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등록하는 미국 UC버클리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차 원장은 세계적 인재를 양성하려면 경직된 연구 분위기도 바뀌어야 한다고 전했다. 인력이나 예산 면에서 강점을 내세울 수 없다면 자유로운 학풍을 조성하는 게 급선무라는 것. 그는 “논문 숫자 위주의 한국 학풍과 경직된 연구환경이 문제”라며 “연구의 질과 내용에 집중하고 교수의 겸직과 다양한 활동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통합형 데이터 인재를 키워낼 수 있다”고 말했다.


오지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