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 철장' 갇힌 교정시설…동부구치소發 집단감염 현실화하나

음성판정자 분산·이송…독방생활로 집단감염 없다지만

같은 건물 사용하고 교도관 통해 전파 가능성 배제 못해

지난 29일 오후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한 수용자가 확진자 과밀수용과 서신 발송 금지 등 불만 사항을 직접 적어 취재진을 향해 들어 보이고 있다./연합뉴스지난 29일 오후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한 수용자가 확진자 과밀수용과 서신 발송 금지 등 불만 사항을 직접 적어 취재진을 향해 들어 보이고 있다./연합뉴스



서울동부구치소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다른 교정시설로까지 확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정시설의 밀집도 등 구조적인 한계에다 법무부의 대응 미비가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30일 법무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서울동부구치소 관련 코로나19 확진자는 총 792명(수용자 771명·직원 21명)이다. 이들 중에는 서울동부구치소에서 2차례 음성 판정을 받고 다른 교정시설로 이송된 뒤 확진된 사람이 17명 포함돼 있다. 서울남부교도소가 16명, 강원북부교도소가 1명이다.

다수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30일 일부 수용자 이감을 위해 수용자들을 태운 버스가 출발하고 있다./연합뉴스다수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30일 일부 수용자 이감을 위해 수용자들을 태운 버스가 출발하고 있다./연합뉴스


앞서 교정당국은 지난 23일 음성 판정을 받은 수용자 175명을 서울남부교도소와 강원북부교도소, 여주교도소 등 3개 기관에 분산 수용했다. 교정당국은 서울남부교도소와 강원북부교도소로 이송된 수용자들의 경우 모두 독실에 수용된 만큼 기존 수용자들에게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은 작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같은 건물을 사용하고 있는 데다 교정 직원들을 통해서도 전파 가능성이 있는 만큼 100% 차단은 장담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교정당국이 동부구치소의 과밀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음성 판정을 받은 수용자들을 추가로 강원북부교도소와 신축 대구교도소 등으로 이송할 계획이어서 타 교정시설로의 코로나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음성 판정을 받았다 해도 바이러스 잠복기 등을 고려하면 서울남부교도소 등의 사례처럼 추가 확진자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지웅배 인턴기자 sedation@sedaily.com

지웅배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