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사우디-카타르, 3년 7개월 만에 국경 개방

쿠웨이트·미국 중재로

단교 3년 7개월 만 화해

5일 합의 서명식 진행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왼쪽)와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타니 카타르국왕. 사우디와 카타르는 3년 7개월 만에 영공과 국경을 다시 개방하기로 합의했다./AFP연합뉴스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왼쪽)와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타니 카타르국왕. 사우디와 카타르는 3년 7개월 만에 영공과 국경을 다시 개방하기로 합의했다./AFP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가 영공과 국경을 다시 개방한다. 카타르가 이슬람 테러 조직을 지원하고 이란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며 아랍 국가들이 단교를 선언한 지 3년 7개월 만이다.

4일(현지시간) 아흐메드 나세르 무함마드 알사바 쿠웨이트 외무장관은 이날 쿠웨이트 TV에 나와 “오늘 저녁을 기해 사우디와 카타르가 영공과 육로, 해상 국경을 연다는 합의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카타르의 군주인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가 5일 사우디 북서부 도시 알울라에서 열리는 연례 걸프협력회의(GCC)에 참석해 이번 합의에 대한 서명을 진행한다.


이번 합의가 걸프 국가 간에 일었던 분쟁이 종식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17년 6월 미국의 우방인 사우디와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은 카타르가 이슬람 테러 조직을 지원하고, 이란과 우호적이라며 단교를 선언했다. 이후 아랍권 4개국은 단교 철회 조건으로 △테러 용의자 정보 제공 △카타르 국영 알자지라 방송 폐쇄 △ 이란과 제한적인 상업 거래 이외의 교류 금지 등 13가지를 제시했지만 카타르는 부당한 요구라고 반발하며 갈등이 깊어졌다.

관련기사



쿠웨이트와 미국이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 움직였다는 사실도 전해졌다. 사우디 외무장관인 파이살 빈 파르한 왕자는 지난달 4일 이탈리아가 개최한 연례 회의 ‘지중해 대화’에서 카타르 단교 사태와 관련해 “우리는 지난 며칠 동안 중대한 진전을 봤다”며 쿠웨이트 정부 노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 덕분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도 협상에 개입해 이날 오전까지도 사우디와 연락을 주고받으며 합의 성사를 위해 노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우디와 카타르의 화해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구해온 이란 압박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카타르는 해상 가스전을 공유하는 이슬람 시아파 맹주 이란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해왔기 때문이다. 이란 입장에서는 이슬람 수니파 대국 사우디와 카타르가 다시 손잡는 상황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

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