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미국, 미얀마 군부에 무역 제재·1조원 자금 동결

미얀마 군부 연계 기업과 거래시

미국 정부의 사전 승인 받아야

미얀마 군부, 쿠데타 직후 美 계좌서

10억 달러 이체하려다 실패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3일(현지시간) 연행된 군부 쿠데타 규탄 시위 참가자 곁에 총을 멘 군인이 서 있다./AFP연합뉴스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3일(현지시간) 연행된 군부 쿠데타 규탄 시위 참가자 곁에 총을 멘 군인이 서 있다./AFP연합뉴스





반(反) 쿠데타 시위대를 향한 유혈 진압을 이어가고 있는 미얀마 군부에 대한 미국의 압박 조치가 구체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4일(현지 시간) 미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미얀마 국방부와 내무부은 물론 국방부가 소유한 미얀마경제기업, 미얀마경제지주회사를 수출규제명단에 올렸다. 미국 기업들은 이들 단체와 거래하려면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아울러 상무부는 미국 기업이 군사 목적으로 쓰일 수 있는 물품을 미얀마에 수출할 때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수출 규제를 가했다. 상무부는 “미국 정부는 쿠데타를 저지른 이들에게 그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계속해서 물을 것”이라며 추가 제재를 시사하기도 했다.

상무부의 이번 규제는 미국의 앞선 압박 조치보다 한층 구체화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10일 미얀마 쿠데타를 지시한 군사 지도자들을 즉각 제재토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예정되지 않았던 기자회견을 열어 “전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한편 이날 미국이 이미 미얀마 군부의 자금 이체 시도를 막았다는 소식이 알려지기도 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얀마 군부는 쿠데타 3일 후인 지난달 4일 미얀마 중앙은행 명의로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예치해 둔 약 10억 달러(1조 1,250억 원)를 다른 곳으로 옮기려 했다. 그러나 뉴욕 연은 당국자는 이 거래의 승인을 지연시켰고, 얼마 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 거래를 무기한 차단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단 이번 조치는 자금 세탁 우려로 미얀마가 지난해 ‘그레이 리스트’에 올라와 행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미 국무부 측은 보도에 대한 공식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곽윤아 기자 ori@sedaily.com


곽윤아 기자 or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