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블링컨 "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금 해제안해"

핵합의 복귀와 연계…"이란 핵합의 의무 준수 필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10일(현지시간) 미 하원 외교위 청문회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10일(현지시간) 미 하원 외교위 청문회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10일(현지시간) 한국 내 동결된 이란 자금에 대해 이란이 핵합의를 준수할 때까지 해제할 의향이 사실상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블링컨 국무장관은 이날 하원 외교위 청문회에 출석해 공화당 소속 그레그 스투비 의원이 한국에 동결된 70억달러의 자금이 미국과 협의 하에 해제되고, 이란이 일본의 동결 자금을 추가로 해제하려 한다는 보도가 있다면서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블링컨 장관은 ‘왜 조 바이든 행정부가 자금을 풀어주려고 하느냐’는 스투비 의원의 질의에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그 보도가 정확하지 않다”고 답했다.

블링컨 장관은 ‘어떤 자금도 해제하지 않을 것이냐’는 질문에 “우리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재차 말했다.

그는 ‘미래에 어떤 자금을 해제할 의향도 없다는 말이냐’는 확인 질문에 “우리가 말해온 것처럼 이란이 핵합의상 의무 준수로 돌아온다면 우리도 똑같은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똑같은 일’의 의미에 대해 “이란이 의무를 이행한다면 합의문에 있는 제재 완화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말한 뒤 “이란이 의무 준수로 복귀할 때까지 제재 완화를 얻을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란은 지난달 23일 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산 70억달러 중 10억달러를 돌려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한국 외교부는 기본적인 의견 접근이 있었다면서도 자금 해제는 미국 등 유관국과의 협의를 통해 이뤄져 나가고, 구체적인 금액에 대해 정해진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블링컨 장관의 발언은 한국 내 동결 자금 해제 문제는 결국 이란의 핵합의 준수 및 협상 복귀 문제와 연계돼 있고, 현재는 동결을 해제할 상황이 아니라는 인식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탈퇴한 이란 핵합의 복귀 입장을 밝힌 가운데 이란이 불이행으로 돌아선 합의사항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이란은 미국이 핵합의 탈퇴 후 부활한 제재 해제를 선결조건으로 내세우며 양측이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이란 반관영 파르스통신은 지난 9일 “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산에 대한 상황은 아직 바뀐 것이 없다”며 아무 진전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노희영 기자 nevermind@sedaily.com


노희영 기자 nevermind@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