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자동차·선박 , 부산 생성 초미세먼지 주요 오염원으로 확인

가을·겨울철은 자동차(28.3%), 여름철은 선박(32.0%)


부산시와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2016년 전국 지자체 최초로 구축한 ‘대기질 진단평가시스템’을 활용한 ‘2020년 대기질 진단평가시스템 운영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부산시는 대기질 진단평가시스템의 대기질 모델링을 활용해 부산지역 고농도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과 저감 정책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지난해 부산시 초미세먼지 연평균농도는 전년 대비 19% 감소한 17㎍/㎥로 대기환경기준(15㎍/㎥)에 근접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월별로 살펴보면 3월은 전년 대비 최대폭(47%)으로 감소한 반면 국외 영향이 비교적 적은 8~9월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초미세먼지 일평균농도 35㎍/㎥를 초과하는 ‘나쁨’ 발생일은 전년 41일 대비 68.3% 감소한 13일로 나타났다. 나쁨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가을·겨울철은(10일) 국외 영향이 우세(국외 64.8%, 부산 12.3%, 인근지역 8.3%)하고 여름철은(3일) 부산지역 생성영향이 우세(부산 34.6%, 인근지역 21.8%, 국내 기타지역 21.1%)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쁨 발생일 부산지역에서 생성되는 초미세먼지의 최대 배출원으로는 가을·겨울철의 경우 자동차(28.3%), 여름철은 선박(32.0%)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 초미세먼지 월별농도 및 전년대비 농도감소율./사진제공=부산시2020년 초미세먼지 월별농도 및 전년대비 농도감소율./사진제공=부산시





이에 따라 부산시는 가을·겨울철 초미세먼지 최대 배출원인 자동차의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오는 2022년까지 총 2만5,000대를 대상으로 매연저감장치 부착을, 2만2,000대에 대해 노후·경유차 조기 폐차를 지원한다. 전기자동차 1만 대, 수소자동차 4천600대에 대한 구매도 지원해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한다.

관련기사



여름철 초미세먼지 최대 배출원으로 꼽히는 선박의 경우 ‘항만대기질법’에 따라 올해부터 내항선은 황함유량이 기존 3.5%에서 0.5% 이하인 연료유를 사용해야 해 항만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부산시가 대기질 모델링을 활용해 항만 지역 선박연료유의 강화된 기준을 적용해 대기질 개선 효과를 모의한 결과, 남풍 계열 바람이 내륙으로 유입되는 하절기에는 부산의 내륙 안쪽 지역까지 미세먼지 농도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운영, 육상전력공급시설 설치 확대, 항만 내 미세먼지 측정망 확충 등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추진하고 수소연료 선박 플랫폼 구축, 중소형 선박 LPG 추진시스템 상용화 등 관련 R&D 지원도 강화해 항만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과학에 기반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부산지역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시기별 맞춤형 저감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