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월 부동산 매매 반토막 났는데…공시가 폭등·공급 대책이 변수

거래량 54.7% 줄어 7.8만건 기록

아파트는 2.6만건으로 68% 뚝

눈치보기 장세 더 치열해질 듯







지난해 사상 최대 건수를 기록한 부동산 매매 거래가 올 들어 하락세다. 특히 2월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을 기록했다. 공시 가격 폭등과 공급 정책 동력 상실이 주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다.



16일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2월 전국 부동산 매매 거래량은 전년 동월 17만 2,000건보다 54.7% 줄어든 7만 8,000건을 기록했다. 1월 15만 2,000건에 비해서도 48.9% 줄었다. 부동산 매매 거래는 지난해 8월부터 꾸준히 상승했지만 올 들어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유형별로는 아파트의 매매 거래가 가장 많이 줄었다. 2월 아파트 매매 거래는 전월(59만 건) 대비 55.1%, 전년 동월(8만 3,000건) 대비 68.3% 감소한 2만 6,000건에 그쳤다. 이는 2018년 9·13대책 이후 거래량이 급감했던 2019년 2월 아파트 매매 거래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전월세 거래도 주춤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서 집계한 전월세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올 2월 전국 주택 및 오피스텔 전월세 거래량은 7만 1000건으로, 전월 대비 33.8%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56.1% 줄었다.

시장에서는 신도시 투기 의혹으로 공급계획이 무산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다시 ‘패닉 바잉’이 재연될 수 있다는 시각이다. 반대로 껑충 뛴 공시가격으로 급매물이 대거 출하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상태다. 하반기 금리 인상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변수다.

임하나 부동산플래닛 빅데이터랩장은 “금리 인상 가능성이 부동산 시장에 심리적 부담을 주고 있는 가운데 각종 세금 부담 강화에다 신도시 투기 의혹 등 여러 변수가 혼재돼 있다”고 말했다. 일단 시장에서는 매도자와 매수자 간 눈치 보기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양지윤 기자 yang@sedaily.com


양지윤 기자 yang@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