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선거 앞둔 與野 앞다퉈 추경 사업 증액… 3.3조 불어나

농해수위, 농어민지원금 등 1.6조 이상 증액

예결위 삭감 없으면 국채 추가 발행 불가피

정무위 '금융권 이익공유법'도 소위 통과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1차 전체회의에서 2021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권욱기자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1차 전체회의에서 2021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권욱기자




4·7 보궐선거를 앞둔 여야가 4차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 위해 편성된 추가경정예산안을 3조 3,000억 원가량 증액하면서 추경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19조 5,000억 원 규모로 편성된 추경안이 최대 23조 원을 넘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불어난 추경 재원을 메우기 위해 적자 국채를 더 발행할 경우 정치권이 선거를 겨냥해 혈세로 돈을 뿌린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국회에 따르면 농해수위와 문체위, 행안위, 환노위, 복지위, 과방위, 교육위가 추경안 예비심사를 마치고 약 3조 3,000억 원을 증액했다.



이날 농해수위 소위원회는 추경안을 심사하고 약 1조 6,296억 원을 증액하기로 의결했다. 복지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접종 등 사업비를 늘려 총 1조625억원을 증액 의결했다. 행안위에선 희망근로지원 사업비 10만명분이 추가돼 추경안 총액이 3,917억원 늘어났다.

관련기사



전날은 문화체육관광위원회가 헬스트레이너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포함해 총 2,459억 원 증액했다. 산자위가 6,119억원의 증액을 논의하고 있어 추경안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열려있다. 만약 다른 사업에서 감액이 이뤄지지 않으면 추경은 23조 원 규모로 커지고 부족한 돈은 적자 국채를 더 발행해 조달할 수밖에 없다.

추경을 이같이 증액할지 여부는 예결위 손에 달렸다. 예결위는 18일부터 이틀간 추경안에 대한 종합 질의를 하고 오는 22~23일 소위를 열어 각 사업의 증액과 감액 심사를 한다. 하지만 불어난 추경을 대폭 삭감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사업 예산을 삭감하면 재난지원금 수혜 대상이 줄어들고, 이를 주장한 정당이 정치적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결위 소속의 한 의원은 “농업인, 운수 업계에 대한 지원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정무위는 소위를 열고 ‘금융권 이익공유제’로 불리는 서민금융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 법이 본회의에서 통과되면 은행 등은 서민금융 재원을 위해 매년 2,000억원 이상을 내야 한다.

/구경우 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bluesquar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