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시중 넘치는 돈...1월 통화량 41.8조↑

M2 3,233조원…역대 최대 증가

기업 선제적 자금 확보 수요 나타나

경기 회복 본격화땐 물가 자극할 듯


높은 가계대출 증가세와 기업들의 선제적 자금 확보 수요로 1월 통화량 증가량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추진한 완화적 통화·재정 정책이 해를 넘어서까지 통화량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넘치는 시중 유동성은 백신 접종 이후 경기회복이 본격화되면 물가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은 시중 통화량을 의미하는 광의통화(M2)가 3,233조 4,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41조 8,000억 원(1.3%)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01년 12월 통계 편제 이후로 가장 큰 증가 규모다. 시중 유동성을 보여주는 M2에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적금,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 상품이 포함된다.






M2는 전년 동월 대비 10.1% 증가하면서 2009년 10월(10.5%)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M2는 지난해 하반기 증가 폭이 점차 축소되는 추세였으나 연초 민간 부문에 대한 신용 공급이 확대되면서 다시 큰 폭으로 늘었다. 특히 기업이 확보한 유동성은 24조 원이나 대폭 증가하면서 2001년 12월 통계 편제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유동성 확보를 위한 채권형 및 주식형 수익 증권,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등을 중심으로 자금이 유입됐다는 설명이다. 이외에도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4조 7,000억 원, 기타 금융기관이 4조 5,000억 원, 사회보장기구·지방정부 등 기타 부문이 1조 2,000억 원 등 모든 경제주체의 유동성이 늘었다. 당장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하는 협의통화(M1)도 1,184조 9,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2.1% 증가했다.

관련기사



완화적 통화·재정 정책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은 경제활동이 정상화된 후 수요가 늘어나게 되면 인플레이션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말 개최된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급팽창한 유동성 상황에 주목해야 한다”며 “현재 유동성이 자산 시장과도 연계돼 있는 만큼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