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암모니아서 수소추출...'그린수소' 시대 여는 포스코

KIST·RIST와 기술개발 업무협약…호주 기업과도 MOU 체결

18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포스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가 '수소분야 연구협력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종희(왼쪽부터) KIST 청정신기술연구소장, 조주익 포스코 수소사업실장, 황계순 RIST 환경에너지연구소장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제공=포스코18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포스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가 '수소분야 연구협력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종희(왼쪽부터) KIST 청정신기술연구소장, 조주익 포스코 수소사업실장, 황계순 RIST 환경에너지연구소장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 그린수소 사업모델./사진 제공=포스코포스코 그린수소 사업모델./사진 제공=포스코


포스코가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암모니아 합성법을 활용한 기술 개발에 본격 뛰어들며 ‘그린수소’ 시대를 한층 앞당긴다.



포스코는 18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과 함께 ‘수소 분야 연구 협력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두 기관과 공동으로 암모니아에서 대용량의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관련기사



암모니아 합성법은 수소를 운송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꼽힌다. 수소를 암모니아로 합성하면 운송 과정에서 기존 유통망을 활용할 수 있으며 운송 과정의 수소 손실률도 낮아 경제성이 높다. 다만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현재까지는 수소를 암모니아로 합성하는 기술까지만 상용화됐다. 조주익 포스코 수소사업실장은 “수소에너지 활용의 핵심 기술인 암모니아 수소 추출 기술을 상용화해 그린 수소 시대를 앞당기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KIST는 지난해 암모니아에서 고순도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코와 암모니아에서 높은 효율로 수소를 추출할 수 있게 하는 촉매제 개발에 나선다. RIST는 국내에 갖춰지지 않은 대용량 암모니아 수소 추출 전체 공정을 상용급으로 개발한다.

앞서 지난 8일 포스코그룹은 그린수소 활용에 필요한 암모니아의 국내 도입을 위해 호주 최대 전력·가스 기업인 오리진 에너지사와 ‘호주 그린수소 생산사업 협력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오리진사는 호주 남쪽에 위치한 태즈메이니아주에서 수력발전 500㎿를 활용해 연간 7만 톤의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 양사는 올해 말까지 공동으로 이번 프로젝트의 사업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되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호주 현지에서 생산된 수소를 암모니아로 합성하고 포스코그룹이 이를 도입해 수소를 추출, 공급하는 방식이다.

/서종갑 기자 gap@sedaily.com


서종갑 기자 gap@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