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코로나 지원에…은행 부실채권 '역대 최저'

“금융당국 지원 따른 착시효과"

지난해말 0.64%로 낮아졌지만

대손충당금 적립률은138%로↑

자료:금융감독원자료:금융감독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에도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금융 당국이 은행 대출 만기와 이자 상환 유예 등의 지원책을 아끼지 않았던 데 따른 ‘착시효과’란 해석이 나온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3개월 이상 연체돼 떼일 위험이 있는 대출금) 비율은 0.64%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년 말에 비하면 0.13%포인트(p), 전 분기 말에 비하면 0.01%p 낮아졌다.

관련기사



부문별로도 전년 대비 모두 비율이 낮아졌다. 기업 여신(0.92%)이 0.19%p 낮아진 가운데 대기업 여신(1.23%)은 0.27%p, 중소기업 여신(0.76%)은 0.13%p, 개인사업자 여신(0.27%)은 0.08%p 각각 떨어졌다. 가계 여신(0.21%)도 0.04%p 낮아졌다. 주택담보대출(0.16%)과 기타 신용대출(0.33%)이 각각 0.04%p, 0.05%p 내렸다. 신용카드채권(0.98%) 역시 0.14%p 하락했다.

지난해 말 현재 부실채권 규모는 13조 9,00억 원으로, 전년 말보다 9.4% 줄었다. 이 중 기업 여신이 12조 원으로 대부분(86.1%)을 차지했다. 가계 여신 1조 8,000억 원, 신용카드채권 1,000억 원 규모였다.

신규 부실채권은 줄었지만, 은행들은 미래 위험에 대비해 충당금을 늘려 손실흡수 능력을 키우고 있다. 대손충당금의 적립률은 작년 말 138.8%로 전년보다 26.7%p나 올랐다.

/김상훈 기자 ksh25th@sedaily.com


김상훈 기자 ksh25th@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