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실물경제 불확실성' 표현 뺐지만…금융 변동성 커졌다는 기재부

■3월 최근 경제동향

내수부진 지속 불구 소비 확대

백화점 매출 40%·할인점 24%↑

현대백화점이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 ‘더현대 서울’을 정식 개점한 지난 2월 26일 오후 백화점에서 시민들이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현대백화점이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 ‘더현대 서울’을 정식 개점한 지난 2월 26일 오후 백화점에서 시민들이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6월부터 9개월 연속 언급했던 ‘실물경제 불확실성’이라는 표현은 빠졌지만 정부는 ‘내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며 낙관을 경계했다.

기획재정부는 19일 ‘2021년 3월 최근 경제 동향(그린북)’에서 “수출·투자의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내수 부진은 지속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다만 실물경제에 대한 판단은 긍정적으로 변했다. 지난해 12월 ‘불확실성 확대’에서 지난 1월 ‘불확실성 지속’으로 한 단계 수위를 낮췄던 실물경제에 대한 판단은 ‘불확실성’이라는 표현을 삭제했다.





소비 확대가 불확실성을 잠재운 가장 큰 요인이다. 지난달 백화점 매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39.5% 증가하며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할인점 매출액 역시 24.2% 늘었으며 카드 국내 승인액, 온라인 매출액도 각각 8.6%, 24.2% 증가했다. 다만 김영훈 경제분석과장은 “지난해 2월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기저 효과가 있는 데다 지난해 1월에 있던 설 명절이 올해는 2월로 이동됐던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낙관론을 경계했다. 김 과장은 이어 “내수 부문 내 회복 편차가 심해 ‘내수 부진’이라 표현했다”며 “1월 발표된 실물지표상 음식·숙박업은 30%, 예술·스포츠·여가는 50%의 감소 폭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수출·투자 등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수출은 조업일 감소에도 불구하고 정보기술(IT)·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9.5% 증가했다. 일평균 수출액은 23억 달러로 전년(18억 2,000만 달러) 대비 26.4% 늘었다. 1월 설비투자도 기계류 투자 증가로 전월 대비 6.2% 증가했다. 하지만 재정 일자리 투입으로 고용 감소 폭이 축소된 것을 긍정적으로 본 것은 지나친 낙관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47만 3,000명 감소해 1월 감소 폭의 절반을 기록했지만 이는 ‘공공 알바’로 불리는 재정 일자리가 확대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해서는 기재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월 중 국고채 금리는 글로벌 금리 상승 및 국고채 수급 부담 우려로 중장기 중심으로 상승했다. 게다가 정부는 이번 추경으로 9조 9,000억 원의 국채를 또다시 발행한다. 지난달 국내 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장기 금리 상승세 등의 영향으로 주가가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세종=우영탁 기자 tak@sedaily.com


세종=우영탁 기자 ta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