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민 90%, 일산대교 통행료 조정“필요하다”

불만족 이유 1순위 '비싼 통행료'… ‘50% 인하’29% 가장 높아





경기도민 10명 가운데 9명이 일산대교 통행료 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달 18∼23일까지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90%가 일산대교 통행료 조정(인하 또는 무료화)이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적정 조정률에 대해서는 ‘50% 인하’가 29%로 가장 높았으며, ‘무료화’하자는 의견도 24%로 나타났다. 특히 일산대교 이용자가 많이 사는 고양·파주·김포시의 ‘무료화’ 의견은 36%로 도 전체(24%)보다 높다.

도민의 70%는 일산대교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들 중 51%가 지난 1년간 일산대교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민 전체 기준 35%에 해당하며, 18세 이상 도민 기준 일산대교 이용자 수는 약 399만 명 정도로 추계한다.

일산대교 이용자 대상으로 만족도를 보면 ‘만족한다’는 34%, ‘보통이다’43%, ‘불만족한다’ 23%으로 나타났다. 특히 불만족 자의 대부분은 그 이유로 비싼 통행료(91%)를 들었다.



일산대교는 고양시와 김포시를 잇는 다리로, 27개 한강 교량 중 유일하게 통행료를 받고 있다. 일산대교 통행료 수익은 현재 일산대교(주)의 최대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의 수익으로 돌아가고 있다.

관련기사



현재 일산대교 통행료는 경차 600원, 소형(1종) 1,200원, 중형(2·3종) 1,800원, 대형(4·5종) 2,400원이다. 이에 대해 도민 대다수(82%)는 ‘부담되는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일산대교 통행료는 km당 652원으로(1,200원 기준)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109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189원) 등 주요 민자 도로에 비해 3~5배가량 높은 편이다.

도민들은 ‘국민연금공단이 투자사업을 통해 국민연금의 내실화·건전화를 유지해야 한다’는 데 동의(86%)하면서도, ‘일산대교를 이용하는 일부 국민들에게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의견에도 동의(85%)했다.

일산대교 통행료 적정 조정률일산대교 통행료 적정 조정률


한편 일산대교 건설을 위한 차입금의 이자율 8%에 대해 도민들은 ‘타 민자사업이나 현 시장금리보다 과도하므로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86%)에 더 무게를 실었다. ‘당시 체결한 협약에 따라 현재의 8% 수준으로 유지돼야 한다’는 14%에 그쳤다.

앞서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달 15일 ‘일산대교 통행료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에서 “통행료가 일부 주민들에 대한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자금 조달을 합리화해서 과도한 부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도는 지난달 19일 경기도의회와 손을 잡고 일산대교(주) 측에 자금재조달 협상 개시를 정식 요청했으며, 지난 5일 회계·금융 등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일산대교 통행료 관련 전문가 TF 출범회의’를 열었다. 오는 24일에는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공정한 민자대로 운영 방안 국회토론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주)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인터넷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2.2%포인트다.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