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국민 80% "올 고용, 코로나 이전보다 악화"

[한경연 성인 1,000명 설문]

고용 한파 직격탄 맞은 2030

부정적 응답 비율 가장 높아

개선 과제로 '규제 완화' 지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일자리 시장에 한파가 닥친 가운데 2030 청년층이 느끼는 고용 사정이 유독 혹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기업 규제 완화를 고용 시장에 온기가 돌게 할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한국경제연구원이 22일 여론조사 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자리 전망 국민 인식’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7.3%는 올해 고용 상황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보다 악화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20대 응답자 중 올해 고용 상황이 매우 악화(53.2%)하거나 조금 악화(30%)하는 등 전반적으로 2019년보다 악화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83.2%에 달했고 30대도 81.3%로 비슷했다. 40대(69.5%), 50대(79.4%), 60대 이상(75.2%)보다 고용 시장을 더 암울하게 보는 것이다.

관련기사



고용 악화가 지속되는 이유로 45.3%는 코로나19 지속을 꼽았지만 국회·정부의 기업 규제 강화(26.3%)와 정부의 친노조 정책(10.7%)을 지목한 비율도 적지 않았다. 고용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과제로는 가장 많은 24.9%가 기업 규제 완화를 꼽았다. 고용 시장 유연화(21.9%), 공공 일자리 확대(15.5%)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2030 세대에서 기업 규제 완화를 첫 번째 과제로 지목한 비율이 높았다. 20대는 25%, 30대는 29.8%가 기업 규제 완화를 꼽았다.

팍팍한 고용 사정 속에서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소득 수준도 제자리걸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7명 꼴인 68.9%가 물가 대비 올해 월급이 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고 소득을 늘리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32.9%가 주식·부동산 등 재테크를 꼽았다. 업무 역량을 키워 승진하겠다는 비율은 14.9%였다. 특히 30대(33.4%)와 50대(30.4%), 60대(31.1%)는 부동산을, 20대(40.0%)와 40대(28.9%)는 주식을 가장 좋은 재테크 수단으로 선호했다.

추광호 한경련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 완화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고용 상황을 여전히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경제의 성장 활력이 많이 약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국민들의 기대를 반영해 일자리 창출을 막고 있는 규제를 완화하고 기득권의 진입 장벽을 낮춘 고용 시장 조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재영 기자 jyhan@sedaily.com


한재영 기자 jyha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