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기업 자금조달 14% 증가...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도 급증

증권신고서 전년比 12.1% 늘어나

주식 신고서 정정비율 5.9%→16.6%로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연합뉴스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연합뉴스




지난해 기업공개(IPO)·유상증자를 통한 기업들의 자본 조달 수요가 몰리면서 금융 당국의 주식 발행 신고서 정정 요구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접수한 증권신고서가 전년 대비 12.1% 늘어난 556건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특히 주식 관련 증권신고서 접수가 총 211건을 기록해 지난 2019년보다 24.1% 늘어났다. 이는 전년 대비 증가폭으로는 역대 최대치다. 지난해 IPO와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 규모는 79조 3,000억 원으로 2019년보다 13.8% 증가했다. 가령 빅히트와 SK바이오팜은 지난해 IPO를 통해 각각 9,000억 원, 두산중공업은 유상증자로 1조 2,000억 원을 조달했다.

관련기사



기업들의 자금 조달 수요가 몰리면서 금융당국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도 늘었다. 지난해 전체 주식 증권신고서 접수 건 중 정정 요구를 받은 비율은 16.6%로 2019년보다 10.7%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정정 요구가 없었던 IPO 증권신고서의 경우 전체 접수 건 중 6%가 금융 당국으로부터 수정 요청을 받았다. 금감원은 “주식시장 신규 참여자 등 투자자 보호를 위해 심사를 강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유상증자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 비중은 2019년 14.9%에서 지난해 29.8%로 늘었다.

금감원은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상장사들에 지배 구조나 신규 사업 진행 내역 관련 내용 등을 보충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다. 금감원은 “증권신고서 효력이 발생한다고 해서 금융 당국이 증권신고서의 기재 사항이 진실·정확하다고 인정하거나 증권 가치를 보증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우일 기자 vita@sedaily.com


심우일 기자 vit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