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미중 갈등 확전땐 '사드 사태' 재연…中 의존도 낮춰라"

[韓 기업 규제족쇄 풀어라]

동남아 등 공급망 다변화해야


갈수록 격해지는 ‘미중 갈등’ 틈바구니 속에서 국내 산업계는 그야말로 샌드위치 신세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때처럼 외교 문제를 놓고 경제로 보복당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미국 주도 글로벌 가치사슬(GVC) 재편이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인만큼 결국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방식으로 실리를 찾을 때라고 조언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정부는 반도체와 첨단 핵심 소재인 배터리·자동차 등 분야에서 반중(反中) 동맹 구축을 가속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수입처를 다변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중국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크다. 2년 전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화웨이 등 중국 기업에 제재를 가한 것에서 더 나아가 중국을 세계 공급망에서 고립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미 화웨이를 비롯해 중국 반도체 기업 SMIC 등이 직격탄을 맞았다. 이에 맞서 중국이 소재·부품 자립 정책을 펴면서 우리 기업들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최근 불거진 반도체 수급난 사태에서도 이런 움직임이 관측된다. 미국 정부는 오는 12일 삼성전자를 비롯한 반도체 업체를 백악관으로 초청해 최근 반도체 칩 부족 상황을 점검하고 해결책을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반도체 품귀 현상이 심해지는 가운데 미국 기업에 우선적으로 반도체를 공급해달라고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국내 기업들은 어느 한쪽을 선택하기가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대중(對中) 수출 비율이 25%에 이를 만큼 중국 의존도가 높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 과정에서도 중국 제조업이 되살아난 것이 큰 도움이 된 것이 사실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GVC 재편 과정에서 대중 무역 비중을 줄이는 시장 다변화 전략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한다. 동남아 등을 생산 거점이나 부품 수급처로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강내영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중국 내수 시장을 겨냥한 기존의 공급망은 유지하면서도 제3국으로의 재수출 공급망을 인도 및 아세안 등으로 다원화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동희 기자 dwise@sedaily.com


한동희 기자 dwis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