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CJ, 상자 크기 달라도 정리 가능한 ‘로봇팔’ 첫 상용화

높이·면적 자동인식...활용도 높아

CJ대한통운 직원이 경기도 동탄 풀필먼트센터에 투입된 ‘AI 로봇 디팔레타이저’를 설명하고 있다.AI 로봇 디팔레타이저는 다른 규격의 박스들이 함께 쌓여 있거나 나란히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피킹 작업이 가능해 ‘비정형 패턴 박스 피킹 로봇팔’이라고도 불린다./사진 제공=CJ대한통운CJ대한통운 직원이 경기도 동탄 풀필먼트센터에 투입된 ‘AI 로봇 디팔레타이저’를 설명하고 있다.AI 로봇 디팔레타이저는 다른 규격의 박스들이 함께 쌓여 있거나 나란히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피킹 작업이 가능해 ‘비정형 패턴 박스 피킹 로봇팔’이라고도 불린다./사진 제공=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이 각기 다른 규격의 박스들을 자동으로 들어올려 옮기는 물류로봇을 업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기존 로봇은 정형화 된 박스만 단순하게 옮기는 작업만 가능해 단일 제품만 처리가 가능했는데, CJ대한통운이 개발한 로봇은 박스의 높이와 면적을 자동으로 인식해 어느 형태의 박스도 정리가 가능해 활용도가 높다.



22일 CJ대한통운은 “팔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박스들의 면적, 높이, 위치를 인식해 자동으로 들어올려 컨베이어벨트로 옮기는 ‘AI 로봇 디팔레타이저’를 업계 최초로 상용화했다”며 “첨단 물류기술을 통해 다수 화주의 다양한 제품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판매자, 소비자들의 물류 서비스 체감도가 한층 더 높아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AI 로봇 디팔레타이저는 다른 규격의 박스들이 함께 쌓여 있거나 나란히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로봇이 사람의 손으로 들어올리듯 작업하기 때문에 ‘비정형 패턴 박스 피킹 로봇팔’이라고도 불린다. 현재 상품보관, 재고관리, 포장, 운송 등 모든 물류작업을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경기도 동탄 풀필먼트센터에 투입하여 이커머스 주문 상품의 피킹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디팔레타이저 로봇 기술은 최초 설계 구조에 맞는 박스들에만 적용할 수 있었다. 미리 설정해 놓은 규격의 박스만 들 수 있으며 지정된 위치에서 벗어날 경우에는 작업이 불가능했다. 소비자들의 주문 상품은 다양해지는데 피킹 로봇의 작업 유연성은 떨어지다 보니 주로 단일 상품만 취급하는 물류센터에서만 활용됐으며 그 외 센터에서는 로봇 대신 인력을 투입해 무거운 짐을 수작업으로 옮길 수 밖에 없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AI 로봇 디팔레타이저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상품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고도화된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지속적인 첨단 물류기술 개발 및 현장 도입을 통해 물류업계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형윤 기자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