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수급·접종 문제가 우리 방역과 경제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한미정상회담을 백신 생산 글로벌 허브의 기회로 삼겠다고 공식 언급했다. 한국 정부가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부분 가입과 반도체·배터리 투자 카드를 미국에 주는 대신 백신 협력과 온건적 대북 정책을 얻어내는 이른바 ‘2+2 빅딜’ 안이 구체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은 17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며 “이번 방미를 백신 협력을 강화하고 백신 생산의 글로벌 허브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혔다. 백신 생산 글로벌 허브 구상과 관련해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의 모더나 백신 국내 위탁 생산 협약 가능성 등이 점쳐진다. 바이오 업계와 정부 안팎에서는 한국 질병관리청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백신 스와프’ 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과 관련해 백신 의제를 구체적으로 거론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 4주년 특별연설에서 “세계 2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백신 생산의 글로벌 허브가 되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하면서도 이를 한미정상회담과 연계해 언급하지는 않았다. 문 대통령은 당시 한미정상회담의 의제를 대북 문제 중심으로만 설명했다. 지난달 19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는 “멈춰 있는 한반도 평화의 시계를 다시 돌리기 위한 노력과 함께 경제협력, 코로나19 대응, 백신 협력 등 양국 간 현안 공조에 심혈을 기울이겠다”며 백신 의제를 간단하게만 짚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같은 달 30일 백신 생산 허브 의제와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할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고 선을 그었다.
/윤경환 기자 ykh22@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