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청년 인턴과 비대면 단기 일자리 증가로 지난 6월 청년 취업자 수가 20만 명 이상 증가하며 2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최저임금 인상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직원을 둔 자영업자 수는 128만 명으로 31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재정을 통해 일자리의 양을 늘렸다고 고용 회복을 말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여기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며 경제 허리로 불리는 30대 취업자 수는 11만 명 넘게 줄었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직격탄을 맞는 7월은 예상보다 큰 고용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63만 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8만 2,000명 늘었다. 3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세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39만 9,000명으로 가장 많이 늘었으며 20대(18만 6,000명), 50대(7만 4,000명), 40대(1만 2,000명)의 취업자도 증가했다. 특히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20만 9,000명 늘어나 2000년 7월(23만 4,000명) 이후 20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40대 취업자 수 역시 2015년 11월 이후 68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30대 취업자는 11만 2,000명 줄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코로나19 직전인 지난해 2월 취업자 수의 99.4%까지 회복했다”고 자평했다.
통계청은 20대 취업자 수 증가에 대해 “비대면 서비스의 발달로 정보통신업 취업자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취업자 수 증가가 기저 효과에 더해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로 생긴 청년들의 인턴 및 아르바이트 자리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며 섣불리 꺼내 든 정부의 소비 진작과 거리 두기 완화 카드에 소상공인의 아르바이트 채용이 늘었다는 것이다. 강삼모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20년 만에 청년 취업자가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는데 실감이 되는지 정부에 되묻고 싶다”며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정부가 소비쿠폰 등 내수 진작책을 내놓던 시기였던 만큼 음식점이나 중소기업 등에서 단기 인력 채용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일축했다.
취업자 증가를 분야별로 보면 일자리의 지속성이 약해보인다. 단순 노무 종사자가 27만 3,000명 늘었고 종사장 지위별로는 임시 근로자가 36만 명 증가했다.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가 2.7%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6.1% 뛰었다.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제조업 취업자는 0.2% 줄어든 반면 정부 주도의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8.7% 늘었다.
문제는 7월이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영향을 받는 7월에는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타격이 불가피하다. 셧다운에 준하는 4단계 거리 두기가 수도권에서 전면 시행된 데다 내년 최저임금이 5.1%나 오르며 자영업자들은 점원 해고에 나서는 등 최악의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면서비스업 및 숙박음식점업을 중심으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고용 상황이 코로나19 유행이 한창이던 지난해 7월보다 더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