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국내 자산운용사 2분기 순이익 6,094억 원...분기 기준 최대

수탁고 증가와 호황 맞물리며

전년보다 91.6%나 늘어나

사모펀드 수탁고도 증가추세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수탁·일임 자산이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펀드 수수료 수익이 증가세를 이어갔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2분기 자산운용사 당기순이익이 6,09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전 분기보다 3.2%, 지난해 4~6월보다 91.6%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국내 자산운용사들은 지난 1분기에 이어 다시금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4%로 전 분기(24.8%)보다 0.8%포인트 줄어들긴 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8.1%포인트나 증가했다.

관련기사



운용 자산 증가세가 맞물린 영향이 컸다. 6월 말 기준 국내 자산운용사의 운용 자산은 3월 말보다 30조 7,000억 원(2.5%) 늘어난 1,268조 5,000억 원으로 추산된다. 펀드 수탁고와 투자일임계약고가 각각 지난 1분기 말보다 4%, 0.4%씩 증가한 751조 원, 517조 5,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간 라임·옵티머스자산운용 사태로 침체기를 겪었던 사모펀드에 자금이 유입되기 시작한 모습이다. 올해 2분기 사모펀드 수탁고는 465조 1,000억 원으로 지난 분기보다 22조 1,000억 원 늘어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2분기 사모펀드 수탁고 증가율이 전체 펀드 수탁고 증가율을 웃도는 등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자 신뢰가 점차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해석했다.

이 가운데 자본시장이 호황세를 이어가면서 자산운용사 수익 증가로 이어졌다. 2분기 자산운용사 수수료 수익은 1조 1,037억 원으로 1분기보다 19.4%, 지난해 4~6월보다 62.3% 증가했다. 증권투자손익도 지난 1~3월보다 10.3% 늘어난 1,675억 원을 거둬들였다. 전체 자산운용사 335곳 중 253곳이 흑자를 봤다. 전문사모운용사 중에서도 260곳 중 68곳만 적자를 기록했다.

금감원은 “2021년 2분기에 자산운용사의 펀드수탁고·투자일임계약고 증가세가 이어졌으며 당기순이익 및 수익성 지표(ROE)도 개선된 수준을 유지하는 등 자산운용산업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했다"고 평가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