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신라 월성서 또 인신공양 흔적…"의식에 제물로 사용"

경주문화재硏 왕성서 인골 발굴

4년만에 성인 여성 뼈 추가 발견

축조시기도 기록보다 250년 늦어

신라 왕성인 경주 월성 서성벽에서 제물로 바쳐진 것으로 보이는 신라 여성의 인골이 최근 발견됐다. 키 135㎝의 왜소한 여성의 목과 팔목에서 곡옥으로 만들어진 유리제 장신구도 함께 발굴됐다. /사진 제공=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신라 왕성인 경주 월성 서성벽에서 제물로 바쳐진 것으로 보이는 신라 여성의 인골이 최근 발견됐다. 키 135㎝의 왜소한 여성의 목과 팔목에서 곡옥으로 만들어진 유리제 장신구도 함께 발굴됐다. /사진 제공=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조사 중인 신라의 첫 왕성, 경주 월성의 서(西)성벽에서 제물로 바쳐진 사람의 뼈가 또 출토됐다. 지난 2017년 두 구의 인골이 발굴된 데 이어 체구가 작은 성인 여성의 뼈가 추가로 발견된 것이다. 월성 서성벽은 사람을 제물로 바쳐 제사를 지낸 인신공희(人身供犧)가 실제로 확인된 국내 유일의 사례다. 이로써 지난 1985년과 1990년 월성 유적지 초기 발굴 조사 때 나온 인골 20구의 성격도 다시금 주목을 끌게 됐다.

지난 2017년 50대 남녀 인골이 발견된 지역(노란색 사각형)에서 약 50㎝ 떨어진 지점에서 여성 인골이 추가로 발견됐다. 이들 인골은 성벽 중심골조와 평행하게 인위적인 선을 이루며 반듯한 자세로 발굴됐고 그 앞에는 소·말의 늑골뼈가 놓이는 등 사람을 제물로 바친 ‘인신공희’의 흔적이 확인됐다. /사진 제공=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지난 2017년 50대 남녀 인골이 발견된 지역(노란색 사각형)에서 약 50㎝ 떨어진 지점에서 여성 인골이 추가로 발견됐다. 이들 인골은 성벽 중심골조와 평행하게 인위적인 선을 이루며 반듯한 자세로 발굴됐고 그 앞에는 소·말의 늑골뼈가 놓이는 등 사람을 제물로 바친 ‘인신공희’의 흔적이 확인됐다. /사진 제공=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7일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여성의 인골은 지난 2017년에 나온 50대 남녀 인골에서 50㎝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발견됐다. 신장 135㎝의 왜소한 체격에 곡옥 모양의 유리구슬을 엮은 목걸이와 팔찌를 착용했는데, 신분은 확인되지 않았다. 장기명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성벽 중심 골조와 평행한 인골의 위치는 의도적으로 맞추지 않고서는 어려운 배치”라며 “기초 공사 후 본격적으로 성벽을 쌓기 전, 성이 오래가고 성문을 지나는 기운을 좋게 다스리기 위한 축원을 담아 제사 의식을 지냈다고 추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지난 1985년 경주 월성 시굴조사에서 발견된 인골 /사진제공=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지난 1985년 경주 월성 시굴조사에서 발견된 인골 /사진제공=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앞서 1985년과 1990년에 발굴된 20구의 인골에 대해서는 “성벽 축조 과정 중에 들어간 인골임은 확실하나 인신공희 여부 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장 연구사는 전했다. 집단 제물로 바쳐진 흔적일 수도 있으나, 토목공사 당시 사고로 죽은 이들을 공동 부장 형태로 묻은 것일 가능성도 열려 있다.

이번 조사에서 경주 월성의 축조는 4세기 중엽 시작돼 5세기 초 완공된 것으로 확인됐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월성이 파사왕 22년(101년)에 축조된 것으로 적힌 것은 실제보다 250년 정도 앞당겨 기록됐다는 뜻이다. 주보돈 경북대 교수는 “이번에 확인된 축조 시기는 주변 부족국가를 통합한 사로국이 마립간의 왕호를 쓰며 신라로 도약하던 때로, 강력한 왕권국가로 성장하는 전환기에 월성이 축조됐다고 추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미술과 미술시장, 문화재에 대한 뉴스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