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윤석열 "괴문서로 공작말고 날 국회로 불러라" 정면돌파

"고발장엔 출처·작성자 나와야

신빙성 없는 자료로 국민 혼동

나 제거하면 정권 재창출 되나"

정치공작규명특위 출범 계획도

윤석열 대선 예비 후보가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고발 사주’ 의혹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성형주 기자윤석열 대선 예비 후보가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고발 사주’ 의혹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성형주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권 예비 후보는 8일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 “출처와 작성자가 없는 괴문서로 국민들을 혼동에 빠뜨렸다”고 일축했다. 제보자를 향해서는 “폭탄을 던져 놓고 숨지 말고 당당하게 나오라”면서 “나를 국회로 불러 달라. 제 입장을 이야기하겠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번번이 선거 때마다 이런 식의 공작과 선동으로 선거를 치르려고 해서 되겠느냐는 한심스러운 생각이 들어서 오늘 여러분 앞에 섰다”며 이같이 밝혔다.



고발 사주 의혹은 지난해 4·15 총선을 앞두고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 전 총장이 측근 검사를 통해 야당에 여권 인사를 고발하도록 했다는 내용이다.

관련기사



윤 후보는 고발장 파일과 관련해 “종이 문건이든지 디지털 문건이든지 출처와 작성자가 나와야 한다”며 “그런 게 없는 문서는 괴문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의혹을 제기하고 검증을 요구하려면 정상적인 자료로 정상적인 절차를 따라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국민을 모독하고 사기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제보자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제일 먼저 제보했다는 사람이 어떤 일을 벌였는지 여의도 판에서 모르는 분이 없다”면서 “언론에 제보한 사람이 왜 공익제보냐. 수사기관이나 권익위에 최초로 해야 공익제보자”라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문건의 출처 작성자에 대해 정확히 대라”며 “치사하게 숨어서 하지 말고 의혹을 제기하는 사람은 책임질 각오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면돌파 의지도 명확히 했다. 그는 “저를 국회로 불러 달라”며 “국회 현안 질의 이런 데서 소환한다는 이야기도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응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국민들이 20년 전 ‘김대업 사건’ ‘기양건설 사건’처럼 허무맹랑한 일에 허물어져 판단을 잘못하실 분들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제가 그렇게 무섭나. 저 하나 공작으로 제거하면 정권 창출이 그냥 됩니까”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윤 후보는 캠프 차원에서 정치공작진상규명특위를 출범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그는 “원로 법조인과 언론인·정치인을 중심으로 앞으로 계속 이어질 만한 정치 공작 대응을 위해 특위를 구성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고발 사주 의혹 키맨인 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고발장은 제가 작성한 것이 아님을 명백히 밝힌다”고 말했다. 또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 “고발장을 받았는지 기억나지 않는다”고 밝혀 이번 사건은 검찰이나 공수처 등 수사기관에 진상 규명의 공의 넘어가는 형국이다. 검찰이 손준성 검사의 당시 업무 컴퓨터를 압수수색한 가운데 소환 조사와 휴대폰 추가 압수수색 등이 이뤄질 수 있다.


조권형 기자·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