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2021 한국건축문화대상-우수상] 수연목서_修硏木書

푸른빛깔 산 아래…더 빛나는 ‘적벽’

벽·천정 모두 대나무 노출 콘크리트

마디·몸체의 질감 표면에 고스란히

수연목서_修硏木書는 길게 늘어선 땅 형태에 맞춰 중정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 목공방으로 사용하는 동을, 남쪽에 갤러리카페 동을 배치한 건축물이다. 담담하면서도 강직하다는 평가를 받았다.수연목서_修硏木書는 길게 늘어선 땅 형태에 맞춰 중정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 목공방으로 사용하는 동을, 남쪽에 갤러리카페 동을 배치한 건축물이다. 담담하면서도 강직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수연목서_修硏木書의 건축주는 사진가와 나무공예 디자이너 부부다. 건축주는 건축가에게 목공 작업을 할 수 있는 공방과 나무와 사진, 건축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책과 공간을 매개로 차 한잔을 나눌 수 있는 갤러리 겸 북카페를 짓고 싶다고 요청했다. 건축가는 중정을 사이에 두고 공방 한 개 동, 갤러리카페 한 개 동을 북쪽과 남쪽에 나란히 배치하고 브릿지로 연결한 건축물을 설계했다. 심사위원인 신현보 한남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는 수연목서를 두고 “담담하면서도 명쾌한 건물이다. 필요에 따라 군더더기 없이 분리해서 담담하게 배치했다”며 “처음부터 끝까지 잔잔하지만, 단 한 순간도 심심하지 않고 일관되게 강직한 인상을 남겨주는 프로젝트”라고 평가했다.




수연목서는 의도적인 단순함을 담은 건축물이다. 배치부터 그렇다. 경기도 여주의 한 도로변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늘어선 구조로 길고 좁은 형상의 땅에 맞춰 무리하지 않고 건물을 나란히 배치했다. 동서방향 양 쪽 벽에는 액자 모양 창으로 양 쪽에 있는 산의 풍경을 볼 수 있도록 돼 있다. 건축물의 남쪽과 북쪽면은 투명한 유리로 만들어 건물 안과 밖에서 넓게 바라볼 수 있는 형태다.

관련기사



수연목서에서 가장 인상적인 특징은 적벽돌 외관이다. 건축가는 처음 현장을 방문했을 때부터 적벽돌을 주변의 푸른 산과 땅에 어울리는 재료라고 판단했다고 한다. 단순한 형태를 더욱 강조하기 위해 적벽돌은 더 붉고 일정한 색상을 내도록 고벽돌 표면을 커팅해 사용했다. 특히 벽돌 사이 수직의 줄눈은 생략하고 수평 줄눈만 뒀다. 부피감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다.

내부는 모두 작은 2층을 두고 있다. 2층은 브릿지로 연결된다. 층간을 오르내리는 계단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내부 역시 공간에 군더더기가 없다. 천정 마감 없이 벽과 천정 모두 대나무 노출 콘크리트 공법을 선택했다. 대나무 마디와 몸체가 표면에 질감으로 남아있다. 화장실 등의 내부 벽체 일부는 붉은 고벽돌을 가공 없이 사용했다. 대나무 노출콘크리트와 대비가 되도록 하는 건축적 장치다.

이같은 내외부 재료는 수연목서가 이번 2021건축문화대상에서 수상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다. 심사위원들은 외부 고벽돌로 질감을 내기 위한 건축가의 연구와 노력, 내부 대나무 노출 콘크리트를 이용한 새로운 공법의 개발 등이 건축물을 돋보이게 하는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