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최고 원전 기술 보유하고도…해외에 목매는 기업들

탈원전 후폭풍…매출 30% 급감

두산重 등 외국서 활로 찾지만

"국내 기반 있어야 수출 힘 받아"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국내 대표 원전 기업인 두산중공업을 비롯한 원전 업체들이 일감 고갈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의 원전 설계·시공 능력은 글로벌 원전 업계에서도 손꼽히는 수준이지만 국내에서는 신규 사업이 막히면서 해외 시장만 바라보는 실정이다.

관련기사



3일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탈원전 이전인 지난 2016년 5조 5,000억 원이었던 국내 원자력 공급 업체의 매출은 2019년 3조 9,300억 원으로 30% 가까이 급감했다. 한국 원전 생태계의 중심 축을 이루던 두산중공업도 어려움을 겪었다. 이전까지 전체 매출의 15% 정도를 원전 설비 제작·유지 사업을 통해 확보해온 만큼 두산중공업의 매출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 2016년 4조 7,053억 원에서 지난해 3조 4,514억 원으로 줄었다.

원전 시공·운영 업체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신규 건설 발주가 중단된 상황에서 원전 업체들은 해외에서 그나마 활로를 모색하고 나선 실정이다. 일단 두산중공업이 지난달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호기 계획·예방 정비 사업 수주에 성공했다. 올해 말 이후에는 이집트 엘다바 원전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도 점쳐지는 상황이다. 한수원과 한전기술·현대건설·두산중공업이 컨소시엄을 이뤄 입찰한 엘다바 프로젝트는 사업 규모가 10억 달러(약 1조 1,800억 원)에 달한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도 지난달 말 국정감사에서 “연말이나 내년 초까지 수조 원대 규모 원전 수주 계약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협력 기업들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두산중공업은 원전 사업에서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에서도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다.

다만 해외 수출 확대를 위해서라도 탈원전 정책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주요국의 원전이 착공하기까지 수년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에서 원전 산업의 생태계가 지속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며 “국내에서도 원전을 적극 운영한다는 시그널이 있어야 국내 기업의 수출도 더욱 힘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