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스포츠 문화

[문화재의 뒤안길] 글씨 쓰는 사람 '사자관(寫字官)'

외교문서·왕실 기록 작성하는 전문 관원

‘사자관청등록’. /사진 제공=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사자관청등록’. /사진 제공=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사자관(寫字官)은 조선시대 외교문서를 관장한 관청인 승문원(承文院)의 사자관청에 소속돼 외교문서와 왕실 기록물 작성을 담당한 관원이다. ‘중종실록’에는 전문직인 사자관의 자긍심을 볼 수 있는 재미난 일화가 실려 있다.



1539년(중종 34) 승문원의 도제조(都提調)는 사자관 김노(1498~1548)에게 “글씨를 삐뚤게 쓰고 크기도 같지 않으니 조심해서 글씨를 쓰라”고 나무랐다. 그러자 김노는 “내가 글씨를 바르게 쓰지 않은 것이 아니라, 늙은 제조가 눈이 어두워 잘 보지 못한 것이다. 만일 외교문서를 쓰는 종이를 제조(提調)에게 주고 쓰라고 하면 잘 쓰겠는가”라고 오히려 반문했다. 비록 짧은 기록이지만 무려 정1품에 해당하는 도제조를 쏘아붙인 사자관의 모습이 굉장히 인상적이다.

관련기사



이긍익(1736~1806)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는 사자관의 역사가 간략히 정리돼 있다. 직책이 조선 초에는 없었고 문신 중에서 글씨를 잘 쓰는 자로 했으나 후에 글씨를 잘 쓰는 자가 매우 적어 선조조부터 사대부와 서인(庶人)을 막론하고 사자관으로 삼았다. 이해룡과 한호가 그 시작이라고 하니 우리가 한석봉으로 널리 알고 있는 한호도 사자관으로 활약했던 인물이었다.

‘사자관청등록’. /사진 제공=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사자관청등록’. /사진 제공=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그런데 막상 사자관을 깊이 살펴보려면 사료가 적어 접근이 힘든 편이다. 아직까지 사자관에 대해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는 것도 놀라운 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립고궁박물관이 최근 ‘사자관청등록(寫字官廳謄錄)’을 입수했다. 이 기록물은 조선 말기인 1877년(고종 14)에서 1881년(고종 19)까지 6년간 짧게 작성된 관청일지지만 그간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사자관의 직제·조직문화·글쓰기활동 등 다양한 모습을 날짜별로 생생하게 담고 있다. 이 기록물이 향후 사자관 연구에 새로운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게 하는 이유다.

비록 국가의 주요 위치에 있지는 않았지만 반드시 필요했던 사람들. 글씨를 쓰는 일에 자부심을 가졌던 사람들. 그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사자관에 대한 새로운 기록물의 등장에 마음이 설렌다. /이상백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