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젊은 수요자 몰려든다…도시개발사업으로 달라진 시흥배곧신도시






시흥시 배곧신도시 조성사업의 핵심인 서울대학교 시흥국제캠퍼스 전경. 시흥시는 기존 군자지구를 서울대 캠퍼스 조성과 함께 교육도시로 이미지로 바꾸기 위해 강습소, 학교, 학원 등을 뜻하는 순우리말인 ‘배곧’으로 바꿨다. /시흥시 제공시흥시 배곧신도시 조성사업의 핵심인 서울대학교 시흥국제캠퍼스 전경. 시흥시는 기존 군자지구를 서울대 캠퍼스 조성과 함께 교육도시로 이미지로 바꾸기 위해 강습소, 학교, 학원 등을 뜻하는 순우리말인 ‘배곧’으로 바꿨다. /시흥시 제공






▲시흥시, 도시개발사업 통해 전국 17번째 대도시로

경기도 시흥시가 인구 50만명을 돌파, 전국 17번째 대도시라는 타이틀을 쥐었다. 올 4월 기준 시흥시 인구 수는 51만98명이다.

도농복합도시였던 시흥시가 1989년 1월 1일 ‘시’로 승격할 당시의 인구 수는 9만3천284명에 불과했다. 30년 만에 40만명의 인구가 몰려든 것이다.


시흥시는 서울의 위성도시로, 지리적으로 부천시와 광명시가 북쪽에 있다. 서쪽으로는 인천광역시가 자리해 있다. 동쪽에는 과천시가 있고 남쪽으로 안산시와 의왕시가 위치해 있다. 서해와 접한 지역이나 위치만 놓고 봤을 때 매력적이지는 않다. 하지만 수십만에 이르는 사람이 시흥시를 찾았다.

관련기사



▲2015년부터 7년간 시흥시 인구 꾸준히 증가해

경인공업지대에 포함된 이후 꾸준한 성장을 거듭해온 시흥시의 인구 수는 2010년에 40만명을 돌파했다. 이후 정체기에 들어서게 된다. 오름세를 나타냈던 그래프가 하향세를 보이면서 2011년 다시 39만명으로 감소하고, 이후 시흥시의 인구는 계속 줄어들게 된다. 연 2천∼3천명 수준으로 감소세가 크지는 않았으나 상승곡선에서 하향곡선으로 바뀌었다는 점에서 도시의 성장이 한계점에 다다른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상당했다.

시흥시는 이를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개발사업에 주목했다. 결과적으로 이 선택은 ‘신의 한 수’였다.

시흥시는 기초자치단체 중 최대 규모로 직영도시개발사업을 펼쳤다. 1998년 공유수면 매립 후 개발이 중단된 군자지구에 2006년 공영개발사업을 통해 얻은 개발이익 700억원을 투자, 신도시 조성사업을 전개하기로 했다. 해당 지역은 2012년 배곧신도시로 명칭이 확정됐다.

같은 해에는 지역 내 서울대학교 시흥국제캠퍼스 조성안도 구체화됐다. 이를 기점으로 배곧신도시 조성사업은 전국적으로 높은 관심을 얻게 됐다. 대단위 아파트가 신도시 내 앞다퉈 들어섰고 2015년부터 하나씩 입주를 시작해 침체 위기를 맞이했던 도시가 다시 부흥기로 돌아섰다.

장현, 목감, 은계지구 등 오래전부터 계획됐던 택지개발사업 역시 훈풍을 탔다. 감소세를 나타냈던 시흥시 인구수도 2016년 40만명선을 다시 넘어섰다. 현재 매년 2만∼3만명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배곧신도시 배곧지구가 황해경제자유구역에 지정되면서, 1조6천억원의 예산 투입이 예정된 상태다. 서울대 시흥스마트캠퍼스, 800병상 규모의 배곧서울대병원 등 글로벌 교육·의료 복합클러스터를 비롯해 약 4만5천㎡ 규모의 데이터센터, 영상 인공지능(AI)센터, 7개 대학과 8개 기관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SK텔레콤 등 국내 유수 기업이 대거 참여하는 육·해·공 무인이동체 연구단지가 오는 2027년까지 지구 내 들어서게 된다. 이는 도시개발과 택지지구개발 등으로 도시를 다시 활성화시킨 시흥시의 성공사례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