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5.18유공자 명단, 광장에 걸자” 아슬아슬 윤석열표 청년인재

노재승 과거 SNS 글 논란에

“표현 부적절…앞으로 신중”

5·18유공자 명단 공개 주장도

지난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오세훈 후보 유세차에 올라 지지연설을 한 노재승씨는 6일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됐다./유튜브 오른소리 캡처지난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오세훈 후보 유세차에 올라 지지연설을 한 노재승씨는 6일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됐다./유튜브 오른소리 캡처




노재승(37)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이 과거 자신이 페이스북에 게시한 글들에 ‘역사관 논란’ 등 비판이 제기된 데 대해 7일 “앞으로 말과 행동에 무게감을 느끼고 신중한 자세로 위원장직을 수행할 것”이라고 자세를 낮췄다. 노 위원장은 일반인일 때의 표현을 문제 삼는 것은 “악의적”이란 입장이지만 ‘유공자 명단 공개’ 등 주장은 여전히 일반 청년층을 대변하기엔 너무 치우친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與 “온갖 혐오 발언” vs 노 “5·18 성역화 비판했을 뿐”


노 위원장은 이날 선대위 회의에서 “과거 개인적 소회를 적었던 SNS글들이 어찌보면 많은 논란이 됐던 것 같다”면서도 “앞으로 윤석열 후보가 2030세대를 조금 더 잘 이해하고 정권 수립 이후에도 2030세대가 미래세대로서 국가의 발전과 비전에 확실히 기여할 수 있도록 조언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앞서 노 위원장은 지난 5월 18일 페이스북에 5·18민주화 운동과 관련한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며 “대한민국 성역화 1대장, 특별법까지 제정해 토론조차 막아버리는 그 운동. 뭘 감추고 싶길래 그런 걸까”라고 썼다. 해당 영상에는 “일부 시위대의 주요 시설 습격 등은 관점에 따라 폭동이라 볼 수 있는 면모도 분명히 존재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지난 6월에는 “난 정규직 폐지론자로서 대통령이 ‘정규직 제로시대를 열겠습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가끔 하곤 한다”고 했다.

/페이스북 캡쳐/페이스북 캡쳐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여당에서는 즉각 비판을 쏟아냈다.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전날 “(노 위원장은) 자신의 SNS에서 온갖 혐오 발언과 차별 조장, 왜곡된 역사관을 쏟아냈다”며 “5·18을 부정하고 ‘정규직 제로시대’를 주장했다. 노씨의 망언은 윤석열 후보의 1일 1망언과 너무나 닮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노 위원장도 곧바로 “민주당이 내세우는 5·18 정신을 특별법으로 얼룩지게 하고 의견조차 내지 못하도록 막아버리는 행태를 비판할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5·18 민주화 운동의 가치나 역사적 의미, 더 나아가서 당시 평범한 광주 시민들이 겪었던 억울한 피해와 희생, 유가족들의 슬픔은 감히 제가 공감할 수 없을 정도로 아픈 상처”라고 강조했다.

“유공자 명단, 5·18광장에 걸어야”


하지만 노 위원장은 해명 과정에서 유공자 명단을 공개하자는 주장을 함께 제기해 추가적인 논란이 예상된다. 그는 “5·18 민주화 운동 유공자 명단을 현판으로 만들어서 광장에 걸어두고 그분들의 업적에 대해 후손이 대대로 알게 하면 어떨까”라고 말했다.

5.18 유공자 명단 공개는 일부 보수 진영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사안이다. 유공자 명단에 ‘폭도’나 ‘가짜 유공자’들이 섞여 부당하게 혜택을 받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이를 투명하게 공개하자는 주장이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미 지난해 10월 관련 소송에서 “(명단 공개는) 사생활 비밀을 침해할 우려가 상당하다”며 “국가보훈처가 5·18 민주 유공자에 대해서만 예외적으로 명단을 비공개한 것도 아니다”라고 판단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노 위원장의 자세한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