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청년농업인 육성' 결실 맺은 농진청

농진청 청년농부 맞춤 지원 덕

작년 귀농·귀촌 35.7만 가구

30대 이하 청년귀농도 '최다'

기술창업 활성화·평균소득 28%↑

"교육·컨설팅 등 농촌정착 지원"

농촌진흥청이 지난달 개최한 '청년농업인 4H 중앙경진대회에서 청년농업인들이 미래 농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영농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농촌진흥청농촌진흥청이 지난달 개최한 '청년농업인 4H 중앙경진대회에서 청년농업인들이 미래 농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영농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농촌진흥청




청년인구 감소로 농업 소멸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진행하고 있는 청년농업인 정책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청년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성공적인 영농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책을 펼쳐나가면서 ‘K농업’의 새로운 가늠자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2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을 선택한 가구는 35만7,694가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중 30대 이하 귀농 가구도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정부의 청년농업인 육성 정책에 따라 농업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하지만 농촌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려면 농업만으로 안정적인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청년들이 자신만의 사업을 영위할 수 있어야 젊은 청년 인력이 지속적으로 농촌으로 눈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농진청이 우리나라의 농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청년농업인 육성책에 사활을 거는 이유다.

농진청은 지난 7월 농촌으로 들어오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영농정착과 기술창업을 전담하는 ‘청년농업인 육성팀’을 신설했다. 이어 청년농업인 맞춤형 종합정보 제공 서비스, 청년농업인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컨설팅, 4H클럽 중심의 청년농업인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청년농업인 정착과 기술창업 활성화 사업 지원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청년농업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청년농업인 경쟁력 제고 사업’도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 2016년 사업 시행 후 평균 농가소득이 28% 상승하는 등 청년농업인의 기술창업 및 영농정착의 일등공신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관련기사





이 사업은 새로운 기술과 창의적 아이디어를 결합해 농산물의 고부가가치를 이끌어내는 것이 목표다. 매년 40개소를 선정해 디지털 농업, 마케팅·유통·홍보 등의 분야에서 농가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내년에는 160개소로 대상을 확대해 더 많은 청년농업인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할 방침이다.

청년농업인들의 소통과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청년 협업공간 지원 사업’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청년농업인들이 상호 소통하는 공간으로 전국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설치된다. 라이브커머스 방송, 시제품 개발, 창업 공간 등을 배치해 유통, 마케팅, 개발 등 청년농업인들의 판로 개척을 지원한다.

농진청은 영농 초기 어려움을 겪는 청년농업인을 대상으로 경영상 태를 진단·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컨설팅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8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3,600명의 청년농업인이 영농 교육과 현장 컨설팅을 받았다.

농진청은 농촌으로 이주한 청년들이 정보 소외 및 고립에 놓이지 않도록 커뮤니티 활동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새롭게 유입된 청년들이 낯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세계적인 농촌 민간단체인 4H클럽을 통해 교류 활동을 장려하고 있따. 현재 4H클럽에는 지역 단위 청년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7,0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귀농인과 예비 농업인, 농업계 대학 졸업생 등으로 점차 확대해 2023년에는 4H클럽에 가입하는 청년농업인을 1만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노형일 농진청 청년농업인육성팀장은 “청년농업인 경쟁력 제고 사업을 맞춤형으로 실시한 결과 청년농업인들의 창업 역량과 사업 경쟁력이 소득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귀농을 꿈꾸는 청년농업인들이 성공적으로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주=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