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화웨이가 중국 정부 사찰 및 인권 탄압 기술적으로 도왔다"

워싱턴 포스트 화웨이 자료 100건 이상 분석

중국 통신 기업 화웨이의 로고/연합뉴스중국 통신 기업 화웨이의 로고/연합뉴스




중국의 대표 정보통신(IT) 기업 화웨이가 중국 정부의 정치 사찰 및 인권 탄압 등에 기술적으로 조력한 정황이 나왔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14일 WP는 화웨이의 파워포인트 자료 100건 이상을 분석한 결과 많은 자료들이 ‘기밀’로 표시돼 있으며, 중국 정부의 인민 사찰 등에 광범위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 증거들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들 자료에는 △음성 인식을 통한 개인 식별 △정치적 인물 감시 △사상 재교육 △수감자 관리 등을 지원하는 화웨이의 기술들이 망라돼 있다. 화웨이는 이들 기술 마케팅 자료들을 지난해까지 홈페이지에 공개했다가 지금은 삭제한 상태다.



실제 지난 2018년 작성된 자료에 따르면 화웨이는 중국의 인공지능 업체인 아이플라이테크와 함께 ‘음성지문 운영 플랫폼’을 개발, 기존에 확보한 음성 데이터를 활용해 특정인을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 아이플라이테크는 2019년 10월 미 상무부가 신장 위구르 인권 탄압을 이유로 제재를 가한 28개 기관 중 하나다. 실제 신장 위구르에서는 위구르인들이 녹음을 강요당한 사례가 있었다고 WP는 전했다.

관련기사



화웨이는 또 중국 정부의 구류자들에 대한 교화 및 재교육, 노동 프로그램을 위한 스마트 감옥의 기술적 밑그림을 제공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은 2017년부터 위구르 지역에서 소수 민족을 기소 없이 구류해 고문과 강제 노동, 사상 재교육 등을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다. 화웨이와 상하이의 한 업체가 공동 개발한 이 시스템이 이 같은 인권 탄압에 악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WP는 지적했다. 아울러 화웨이는 중국 공안 당국이 정치적 관심 인물의 위치를 확보하고 카메라를 이용한 안면 인식으로 이들을 추적하는 데에도 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WP는 전했다.

화웨이는 관련 의혹 제기에 "특정 그룹이나 사람을 목표로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판매하지 않았고, 모든 사업은 법과 사업 윤리에 기초해 이뤄졌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지난 2019년 5월부터 화웨이에 대한 수출 규제를 단행해 왔다.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화웨이가 자사 통신장비를 이용해 중국의 스파이 활동을 돕는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미국의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 화웨이를 상무부의 수출규제 명단에 올렸다. 조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도 화웨이에 대한 제재는 이어지고 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