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정부 "美 FOMC, 국내 영향 제한적…예상 크게 벗어나지 않아"

이억원 기재부 1차관,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

"불확실성, 취약계층에 큰 어려움…물가 안정 노력할 것"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에 대해 “국제금융시장에서 시장의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며 “연준발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소화됨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16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이 같이 말했다. 이 차관은 “연준의 테이퍼링 및 금리 인상과 관련한 예측이 상당 부분 시장에 선반영 돼 있다”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신흥국들이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 점, 미국의 전략 비축유 1,800만 배럴 방출 발표, 중국의 지급준비율 인하 등 주요국이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는 점들도 충격을 완충할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앞서 연준은 15일(현지시간) 열린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테이퍼링 속도는 한 층 높이기로 했다. 연준은 내년 1월부터 자산매입 축소 규모를 매월 150억 달러에서 300억 달러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테이퍼링 종료 시점은 당초 내년 6월에서 3월로 앞당겨질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연준의 금리인상 시점도 빨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차관은 다만 “글로벌 인플레이션, 오미크론 변이 등 리스크 요인들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경제여건과 통화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확대, 중국 헝다그룹의 디폴트와 같은 국지적 이벤트들이 맞물릴 경우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며 “소상공인과 저소득층 등 우리경제의 취약계층에게 더 큰 어려움으로 다가올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정책적 대응노력을 지속·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서민 생활물가 안정을 위해 기존에 발표한 옥수수, 설탕 등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 지원, 면세 농산물에 대한 의제매입세액 공제 특례기한 연장 등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유류세 인하 효과 및 국제유가 하락 효과가 반영되도록 민관합동 점검체계 또한 지속 가동하기로 했다.

설 명절을 앞두고 성수품 수요 확대 등 속 물가 불안이 나타나지 않도록 예년보다 3주 빠르게 설 명절 물가대응체계를 가동, 16대 성수품과 쌀을 포함한 17대 품목을 중점 관리품목으로 지정하고 평시대비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