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은 "내년 車 등 내구재 가격 상승 폭, 올해보다 커질 것”

한국은행 16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 분석 결과

“차량용 반도체 문제 장기화, 해상운임·원자재가격 상승분 반영”

미국 일리노이주 한 자동차 딜러의 신차 주차장(오른쪽)이 거의 비어 있는 가운데 왼쪽 주차공간을 중고차들이 차지하고 있는 모습.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코로나19 사태와 반도체 부족을 포함한 공급망 마비로 올해 2,100억 달러의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미국 일리노이주 한 자동차 딜러의 신차 주차장(오른쪽)이 거의 비어 있는 가운데 왼쪽 주차공간을 중고차들이 차지하고 있는 모습.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코로나19 사태와 반도체 부족을 포함한 공급망 마비로 올해 2,100억 달러의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글로벌 공급병목 현상 등의 영향으로 올해보다 내년에 자동차 등 내구재가격이 많이 오르면서 물가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16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에너지, 축산물, 내구재, 노동시장 등 부문별로 공급병목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구재가격의 경우 반도체 공급 차질, 원자재가격 상승 등의 영향이 당분간 이어져 내년에는 올해보다 오히려 상승 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한은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 차질이 내년 하반기에나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기존 내연기관차보다 반도체 탑재량이 많은 전기차·스마트카 생산 비중이 커지면서 반도체 문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가전 등 기타 내구재 가격 상승세도 현재 주요국보다는 약하지만, 해상운임과 원자재가격 상승분 등이 반영되면서 점차 상승 폭이 커질 수 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한은은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자동차 등 일부 내구재를 중심으로 공급병목의 물가 영향이 나타나는 가운데 목표 수준을 상당폭 상회하는 물가상승세가 지속돼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불안해질 경우 수요·공급 측면의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고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에 따르면 에너지 가격의 경우 겨울 난방 수요가 줄어드는 내년 2분기 이후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 수급 불균형 상태가 길어져 가격 오름세가 지속될 가능성도 함께 거론되고 있다. 축산물 가격 상승률은 수급 불균형 해소와 함께 내년 중 낮아질 가능성이 크고, 임금 측면의 물가 상승 압력은 아직 높지 않다는 게 한은 분석이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