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집값 상승폭 '뚝'…강남·마포는 실거래가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전세가 상승률

12월 둘째주, 전주比 대폭 축소

서울 강남·서북권 실거래가격

10월, 7개월 만에 하락 전환

"하락 신호탄으로 보긴 일러"

전문가들 '숨고르기'에 무게





전국적으로 집값 상승 폭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특히 서울 강남·마포의 실거래 가격이 지난 10월 기준으로 하락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문가들은 하락세로 본격 전환하는 신호탄이라기보다는 관망세 확산에 따른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무게를 두고 있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상승 폭이 크게 축소됐다. 지난주 보합이던 서울도 매매와 전세 모두 가격 상승률이 낮아졌다.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국(0.13%→0.09%), 수도권(0.14%→0.10%), 서울(0.10%→0.07%), 지방(0.12%→0.08%) 등이었다. 그동안 0.01~0.02%포인트가량 줄었던 것에 비해 이번 주는 0.03~0.04%포인트로 크게 축소된 점이 눈에 띈다.

서울은 25개구 중 22개구에서 상승 폭이 축소됐다. 지난주 상승 폭이 확대됐던 서초구를 포함해 강남4구 모두 지난주 대비 상승 폭이 축소됐고 관악구(0%)는 1년 7개월 만에 보합 전환해 상승세가 멈췄다. 올 한 해 급등세를 보였던 인천도 8개구 중 7개구가 상승 폭이 줄어들었다. 경기 역시 급매물 출현에 45개 시군구 중 38개구가 상승 폭이 축소됐다.



수도권에서는 동두천(-0.03%)이 지난주에 이어 하락세가 이어졌고 화성시(-0.02%)도 하락 전환했다. 이달 들어 화성시 ‘동탄역 센트럴 예미지’ 전용면적 96㎡는 직전 신고가(12억 4,000만 원·8월 거래)보다 2억 4,000만 원 낮은 10억 원에 거래됐다.

관련기사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도 직전 거래 대비 가격이 하락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공동주택 실거래가지수에 따르면 올 10월 기준 서울 강남권과 서북권 아파트의 실거래 가격은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서초·송파·강동구 등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 지수가 0.03% 하락했다. 마포·서대문·은평구가 있는 서북권은 이보다 큰 0.50%의 하락 폭을 보였다.

실제로 강남구 청담동 청담자이 전용면적 89㎡ 4층은 10월 직전 최고가(35억 원)보다 2억 원가량 낮은 33억 1,000만 원에 거래됐다. 지난달 반포주공1단지 전용면적 72㎡가 전월 최고가(35억 원)보다 6억 7,000만 원 낮은 28억 3,000만 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실거래 가격을 이전 거래가와 비교해 지수화한 실거래가지수는 최신 시장 상황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최근과 같은 거래 가뭄 속에서는 급매·증여 등 일부 특수 거래 사례로 인한 왜곡이 있을 수 있다는 한계도 있다.

하락 거래 건수 비중도 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하락 거래 건수 비중은 30.1%로 9월의 23.6%에 비해 6.5%포인트 높았다. 11월 30일까지 신고된 11월 거래 중에서는 41.3%의 거래 가격이 종전보다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아직 하락 전환이 본격화됐다고 보기에는 이르다는 의견이다. 주간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떨어지고 있지만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어서다. 올 1~11월 누적 상승률도 전국 13.73%, 수도권 17.56%, 서울 7.76%로 지난해의 2배를 웃돌고 있다. 윤주선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원 교수는 “전통적으로 대선 전 계절적 비수기에는 거래량이 급감하고 매매와 전세 가격 상승 폭이 크지 않다”며 “눈치 보기 장세가 이어진 것을 두고 본격적인 시장의 하락 전환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분석했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