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달걀 산지가격 떨어지는데…수입란 늘린다는 정부

올해 대규모 살처분 가능성 낮아

AI확산 불구 가격안정 효과 없어

"재입식 지원하는게 더 도움" 지적

서울 시내 한 시장의 모습. /성형주기자서울 시내 한 시장의 모습. /성형주기자




정부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달걀값이 오를 것에 대비해 달걀 수입을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소비자가격은 오히려 상승세를 타고 있다. 반면 양계 농가의 생계와 직결되는 산지 달걀값은 떨어지면서 정부가 가격 안정 효과도 없는 달걀 수입을 섣불리 추진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2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달걀 한 판(특란 30개) 평균 소매 가격은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처음 발생한 다음 날인 지난 6일 5,975원에서 17일 6,399원으로 7.0% 올랐다. 정부는 이러한 가격 상승세를 의식해 9일 “국내 달걀 수급 및 가격 안정으로 잠정 보류해온 미국산 수입 신선란 시중 공급을 재개해 이달 중 3,000만 개를 신속히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문제는 고병원성 AI 확산에도 불구하고 달걀 산지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달걀 한 판 산지 평균 가격은 6일 4,595원에서 17일 4,541원으로 54원 떨어졌다. 지난겨울 산란계 3,000만 마리를 살처분한 후 올 들어 계속 병아리·중추 재입식(가축을 다시 들임)이 이뤄져 생산이 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일 기준 산란계 마릿수는 전년(7,258만 마리) 대비 2.4%, 평년(7,266만 마리) 대비 2.3% 증가한 7,433만 마리로 추산된다. 이런 상황에서 수입란이 들어오면 양계 농가 입장에서는 제값을 받기가 더 어려워진다.

AI 확산에도 산지 달걀값이 떨어지는 것은 올겨울 정부의 고병원성 AI 방역 정책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고병원성 AI 발생 시 예방적 살처분 범위를 발생 농가 반경 3㎞에서 500m로 줄이되 2주마다 방역 상황에 맞춰 범위를 조정하기로 했다. 지난해와 같은 대규모 살처분이 이뤄질 가능성이 낮아지며 산지 달걀값 하락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대형 마트를 중심으로 유통 업체들이 마진 회복을 위해 달걀값을 계속 올리고 있다. 전국 대형 마트의 달걀 한 판 평균 가격은 6일 5,859원에서 이날 6,300원으로 2주 새 7.5%나 올랐다. 대한양계협회는 “2020~2021년 AI 발생 당시 정부는 달걀 수입을 주도했지만 가격 인하 효과는 전혀 없었고 가격 안정 시점 예측 실패로 시장 혼란만 더 가중시킨 바 있다”며 “정부가 달걀을 수입하기보다 AI 살처분 농가의 재입식을 도와주는 것이 달걀 가격 안정에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