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대기업도 "더 못버텨"…빚내서 자본 늘린다

HDC신라·CJ CGV 등 영구채 발행

부채비율 낮추고 미리 자금 확보


코로나19의 충격이 2년 가까이 지속되자 직접적 피해 업종에서는 대기업도 빚을 내 자본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몰과 면세점·영화관·저가항공사(LCC) 등이 코로나발 실적 악화에 신종자본증권으로 불리는 영구채를 연말에도 잇따라 발행하고 있다.



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HDC그룹 산하의 신라아이파크면세점과 아이파크몰이 이달 들어 각각 900억 원과 700억 원의 영구채를 30년 만기로 발행해 자금을 조달했다. 국내 최대 영화관 체인을 운영하는 CJ CGV 역시 지난 8일 1,60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으며 메가박스중앙도 특수목적회사(SPC)를 통해 300억 원을 30년 만기로 조달했다.

관련기사



회사채 시장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인 연말에 대기업들이 영구채를 발행하는 것은 드문 일로 연내 자본을 늘려 코로나19 피해로 급증한 부채 비율을 낮추면서 내년 사업 자금을 미리 확보하려는 포석이다. 만기가 없는 영구채는 전액 자본으로 회계 처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영구채는 일반 회사채보다 1~2%포인트 이상 높은 금리로 발행돼 기업의 수익성과 재무구조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8월 자본잠식 위기에 처한 진에어는 750억 원의 영구채를 연 6.8%의 금리로 발행했으며 HDC계열사나 CGV도 5% 중반에서 6% 중후반의 고금리로 자금을 조달했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당장 증자하기 어려운 기업들이 임시방편으로 (영구채로) 자본을 확충하고 있다”며 "특히 코로나19의 여파로 실적이 악화돼 은행 등의 대출 가이드라인을 맞출 수 없는 대기업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김민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