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롯데케미칼·삼성ENG 등 컨소시엄...암모니아 기반 청정수소 생산

산학연 컨소시엄 구성해 국책과제 수행

파일럿 공장 짓고 상용화 설계 개발

20일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암모니아 기반 청정수소 생산기술 플랜트 실증사업 발대식’에서 컨소시엄 참여 기관 대표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롯데케미칼20일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암모니아 기반 청정수소 생산기술 플랜트 실증사업 발대식’에서 컨소시엄 참여 기관 대표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과 롯데정밀화학·삼성엔지니어링 등이 연구 기관, 대학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암모니아 기반 청정수소 생산을 위한 국책 사업에 나선다.

롯데케미칼은 총 9개 사로 구성된 이 컨소시엄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기술평가원의 국책 과제 ‘암모니아 기반 청정수소 생산 파일럿 플랜트 실증화’ 사업 수행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컨소시엄에는 롯데케미칼과 롯데정밀화학·삼성엔지니어링 등 3개 기업과 4개 연구 기관(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가스안전연구원·미래기준연구소), 2개 대학(충남대·국민대) 등 총 9곳이 참여하고 있다.



이 컨소시엄은 암모니아를 기반으로 연간 800톤 규모의 수소를 생산하는 실증 플랜트를 롯데정밀화학 울산 공장에 건설하고 상용화 수준인 연간 1만 6,000톤급의 수소 생산 플랜트 설계도 개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국책 과제 수행 기간은 올해 11월부터 48개월간이며 전체 예산 262억 원 중 148억 원은 정부가, 114억 원은 컨소시엄 참여 기업이 직접 출자해 부담한다. 이번 국책 과제는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암모니아 분해 수소 추출 원천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국내 최초로 상용화를 목적으로 추진된다.

롯데케미칼은 고효율 암모니아 분해 시스템(반응기) 개발을 맡고 삼성엔지니어링은 파일럿 플랜트 설계 및 조달, 시운전을 담당한다. 롯데정밀화학은 기존 암모니아 플랜트 운영 인프라를 활용해 국책 과제에 참여한다. 연구 기관과 대학들은 암모니아 분해 촉매 개발, 암모니아 기반 수소생산 설비 인허가 및 안전 기준 법제화 추진 등을 맡는다.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부회장은 “국내 최고의 산학연 협력을 통해 국산 기술 개발을 추진해 국내 청정수소 수요의 30%를 롯데 화학사가 공급할 것”이라며 “롯데그룹 화학 회사 간 유기적 협력을 통해 적극적인 수소 사업 로드맵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최성안 삼성엔지니어링 사장은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의미 있는 사업에 각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성을 보유한 파트너사들이 힘을 합치게 됐다”며 “삼성엔지니어링만의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청정 암모니아와 청정 수소 분야의 선두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