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재명 “게임 확률형 아이템에 ‘억대 투자’는 사기”

게임업계 향해 “고객 봉으로 알면 성장 어려워”

업계 관련 尹 겨냥 “120시간 일하고 살아남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서울 중구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에서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와 '대전환의 시대, 대한민국은 어떻게 공정의 날개로 비상할 것인가'를 주제로 화상 대담을 하기 위해 대담장으로 들어오고 있다. /권욱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서울 중구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에서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와 '대전환의 시대, 대한민국은 어떻게 공정의 날개로 비상할 것인가'를 주제로 화상 대담을 하기 위해 대담장으로 들어오고 있다. /권욱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게임 확률형 아이템 문제와 관련해 “몇십만 원, 몇백만 원씩, 억대로 투자했다는 사람도 있다고 하는데 사실은 그런 건 사기”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방송된 게임 유튜브 채널 ‘김성회의 G식백과’에 출연해 “최소한 의무적으로 (확률을) 공개하고 어길 경우 현금이 왔다갔다 하는 거래 기만이니 제재도 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내 게임업계를 향해 “고객을 존중하지 않고 그냥 단기 수익에 집중하다 보니 게임에 대한 신뢰가 통째로 떨어진다”며 “고객을 봉으로 아는 사고로는 성장하기 어렵다”고 했다.

관련기사



이 후보는 또 “게임이 사회적으로 해악을 끼친다면 질병으로 치료해야 하니 (질병 코드로) 분류하는 게 맞는데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극단적 예외 사안을 이유로 일반화하는 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이 한국산 게임에 대해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내주지 않는 문제를 두고는 “결국 외교 역량 문제로 귀착된다”며 “중국도 세계와 공존해야 하는데 너무 자기중심으로, 폐쇄적으로 가는 느낌”이라고 진단했다.

이 후보는 게임업계의 노동 혹사 문제와 관련해서는 “120시간 일하고 사람이 살아남을 수 있겠느냐”며 “노동자도 사람이고 사용자도 절실하면 추가인력을 고용하는 게 맞지, 현대 문명 사회에 맞지 않는 수준의 과도한 노동 착취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120시간 노동’ 발언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e스포츠 선수의 병역 문제 해결을 위해 상무팀을 만드는 문제를 놓고는 “굳이 안 할 이유가 없다”며 “꼭 소총 들고 경계 근무를 하는 것보다 다른 방식의 기여 방안을 주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후보는 게임에 가상자산과 대체불가토큰(NFT)이 접목되는 것에 대해선 “흐름에 끌려갈 게 아니라 우리가 앞서고 선도할 필요가 있다”며 “실체로 존재하는 것을 부정하면 쇄국정책을 하는 꼴이 된다”고 밝혔다.


이희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