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1인 가구' 10명 중 4명 월세 산다

통계청, 2020 인구주택 총조사 가구주택 특성항목

1인 가구, 전체의 31.7% 차지

절반이 미혼…청년층 비중 늘어





지난해 1인 가구가 664만 3,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31.7%를 차지했다. 1인 가구 10명 중 4명은 월셋집에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가구·주택 특성 항목’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664만 3,000가구로 조사됐다. 직전 조사인 지난 2015년 대비 143만 2,000가구(27.5%) 증가했다. 전체 가구(2,092만 7,000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중은 31.7%로 조사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 인구에서 미혼·만혼 인구가 늘어나며 1인 가구에서도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사람이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1인 가구는 청년층과 미혼 인구를 중심으로 증가했다. 한 번도 결혼한 적이 없는 1인 가구가 334만 가구로 전체 1인 가구의 50.3%였다. 2015년 43.8% 대비 6.5%포인트 높아졌다. 이 외에 사별이 20.5%, 이혼이 16.1%였다. 연령별로는 29세 이하 청년 1인 가구가 52.9% 늘어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전체 1인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에는 70세 이상이 22.1%로 가장 높았지만 지난해에는 29세 이하가 20.2%로 가장 많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미혼과 만혼 인구 비중이 커지며 1인 가구에서도 청년층과 미혼 가구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1인 가구가 된 이유로는 직장 및 학업이 39.2%로 가장 많았다. 본인 독립(26.2%)과 가족 사유(17.0%), 가족 사별(15.5%)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1인 가구의 주거 형태는 월세로 거주하는 가구가 273만 5,000가구(41.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직전 조사 대비 53만 9,000가구(24.6%) 늘었다. 자기 집에 거주하는 경우와 전세 거주가 34.3%, 17.5%로 뒤를 이었다. 거주 규모별로 보면 1인 가구 중 95만 7,000가구(14.4%)는 방 한 칸짜리 집에 살았다. 반면 1인 가구 가운데 거실을 포함해 방이 4칸 이상인 집에 거주하는 사람도 34.3%에 달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이혼이나 사별로 혼자 살게 된 사람도 있지만 주거 등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영향도 있다”고 밝혔다.

1인 가구를 포함한 전체 가구 주거 실태를 보면 자기 집에 거주하는 가구(57.3%)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월세 거주 가구는 22.9%로 전세(15.5%) 거주 가구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전체 가구 중 지하(반지하)에 거주한 가구는 32만 7,000가구로 집계됐다. 옥탑방 등 옥상에 거주한 가구도 6만 6,000가구였다.


세종=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