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표 항만도시인 부산·인천·울산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해상도시와 해저도시 건설을 본격 추진한다. 부유체를 띄워 연결하는 해상도시, 육지와 연결한 수면도시, 바닷속에 조성하는 해저도시 등 다양한 사업 모델을 통해 관광과 산업을 연계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를 능가하는 복합휴양도시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이다.
28일 각 지자체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따르면 부산시는 바다 위 부유체를 엮어 해상도시를 만드는 계획에 착수했다. 세계 도시 정책을 관장하는 유엔 해비타트와 해상도시 개발기업 오셔닉스에서 세계 최초로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해상도시는 해수면 상승과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인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부산시와 유엔 해비타트, 오셔닉스는 각각 사업 추진의 행정 지원, 국제기구 역할을 이용한 시범모델 사업 지원, 타당성 조사·입지 분석·사업 홍보 등의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사업시행자인 오셔닉스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와 시너지 효과를 염두에 두고 입지 분석과 각종 영향성 평가 등을 포함한 타당성 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해상도시 시범모델 건설에 관한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기후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은 물론 산학협력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특히 조선·플랜트산업 육성, 해상도시 설계 및 시험,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첨단 방재 및 운영 기술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내항에 수면으로 연결된
인천은 내항에 수면 위·아래가 연결된 건물을 띄워 연결하는 형태로 해저도시를 추진한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 등 최신 ICT를 활용한 20여개의 스마트 건물들을 조성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각 건물은 인천 내항 공유수면에 해저 3층 및 해상 4층 규모로 들어서고 해저와 해상의 통로로 연결된다.
해수면 아래 약 10만㎡ 부지에는 호텔, 클럽, 수족관 등의 대형 파빌리언을 단계적으로 건축한다. 소규모 콘서트홀(100∼200명 수용)과 중형 콘서트홀(500명 수용)도 들어선다. 곡선 형태의 해저통로는 동인천역 지하상가와 연결된다.
현재 이 사업에는 갑을그룹이 민간사업 방식으로 최첨단 해저도시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안을 인천항만공사에 제안했다. 이에 따라 인천항만공사가 현재 추진 중인 인천 내항 재개발사업계획에 이를 반영하고 해양수산부가 승인하면 5년 후인 2026년에는 인천 해저도시가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갑을그룹에 따르면 각 파빌리언당 사업비는 약 3,900억 원에 사업기간은 30개월가량이 소요될 전망이다. 해저 퍼빌리언 형태의 건물을 내항에 20개 건설하면 총사업비는 총 7조 8,0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계획대로 조성되면 연면적 약 67만㎡의 해저도시에 연간 3,224만명의 관광객이 찾아오고, 일자리 약 8만 1,000개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시는 바다 수면 아래에 해저도시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울산시는 지난 2019년부터 한국해양과술연구원과 해저도시 조성 사업을 위한 검토에 들어갔으며 최근 울주군·한국해양대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해수부가 내년 초 진행할 해저공간 창출·활용 기술개발 공모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울산시가 추진하는 해저도시는 해저 거주를 위한 설계·시공 기술, 운영과 유지·관리 기술, 해저공간 구조 시험장 설치·검증 등 기술개발과 실증에 방점이 찍혀 있다. 기술적으로 ‘수심 50m, 5명 체류’, 실증적으로 ‘수심 30m, 3명 체류’를 목표로 2022년부터 2026년까지 기술개발이 진행된다.
울산시는 기술개발이 성공하면 신재생에너지 저장·활용, 조선·플랜트 기술 고도화, 해양 레저·관광, ICT 데이터센터 유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확보한 기술력과 노하우는 우주기술, 부품소재, 생명과학, 바이오헬스 등 다양한 분야의 파생기술로 활용할 수도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에 의향을 보인 기업과 기관 등 28곳이 민·관·학·연 공동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어업인 단체 역시 사업 유치를 희망하고 있어 원활한 사업 추진이 기대된다”라면서 “친환경 고부가가치 신산업을 창출하는 동시에 어촌 공간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